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산업융합 추진을 위한 디자인 역량강화 및 활용방안-최익현, 김 면 367-37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11-23
첨부파일 45-산업융합.pdf
내용
산업융합 추진을 위한 디자인 역량강화 및 활용방안 

Design Capability Enhancement and Ways to Utilize Design Aimed at Pushing for Industrial Convergence 


주저자 : 최익현 
산업통상자원부 생물다양성총회준비기획단 파견 
Choi, Ik Hyun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교신저자 : 김  면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교수 
Kim, Myun 
Professor, School of Art, Sungkyunkwan University 
---------------------------------------------------
논문요약 
디자인은 18세기 산업혁명시대 이후 제품에 대한 기능적, 심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새로운 분야로 등장하며 우리 인류의 삶의 가치를 증진하고 창출시키는 수단으로 자리매김 해왔다. 21세기로 접어들며 산업은 서로간의 영역이 모호해지고 협업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융합혁명의 시대」로 급속히 전환되어 가고 있으며 디자인주도의 산업패러다임 확산과 창의산업 창출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이 더욱 심화되었으며 창조경제가 국가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로 사람들의 행동․경험 등을 반영하여 제품․서비스를 만들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을 성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창의산업 창출을 위한 융합 디자인 정책 개발과 추진의 성공 조건으로, 공공부문에서는 그 동안 정부에 의존하는 수직적 구조의 정책추진과 경직된 부처 간 역할을 변화시켜 수평적 구조의 융합을 추진하여야 하며, ICT를 기반으로 한 산업융합을 위해서는 R&D와 디자인분야의 협업이 무엇보다 필요하게 됐다. 이를 위해 디자인융합 R&D시스템의 확산과 이를 운용하기 위한 전문 인력양성은 물론 디자인의 영역을 넓히기 위한 노력으로 서비스디자인, 미래디자인 등 혁신사업 발굴과 함께 디자인을 융합과 성장의 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클러스터, 통계, 정보, 제도적 마련 등 디자인 인프라 강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21세기 융합시대를 선도하는 디자인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창의산업, 산업융합, 디자인적 사고 

Abstract 
Design emerged as a new breed of industry adding functional and aesthetic value to products follow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and it has become a critical tool to create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mankind. As different industries become intertwined and increasingly require collabor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industrial paradigm has been rapidly shifting to bring about an “age of convergence revolution" and design has taken on a bigger role in the expansion of the design-driven industrial paradigm and creation of a creative economy. In order to enable the creative economy to make a new breakthrough for the national economy, it is preferentially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behavior and experience of consumer’s into goods and services through “design thinking” so that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ll be achieved.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design policies for the construction of creative industries, the public sector needs to push for horizontal structure-based convergence by making changes in vertical structure-based policy implementation dependent on the government and in inflexible interdepartmental roles. Also, as the condition of success, ICT-based industrial convergence,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design needs to be achieved first and foremost. To this end, the expansion of design convergence R&D systems and fostering of professionals who will operate them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essential not only to create innovative businesses such as service design and future design in order to widen the horizon of design but also to strengthen the design infrastructure in such ways as establishing design clusters, statistics, information and systems that can enable the utilization of desig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convergence and growth. All these efforts will allow Korea to make a quantum leap and become a powerhouse in the design industry that leads the convergence age in the 21st century. 

Keywords 
creative industries, industrial convergence, design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