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소셜미디어 특성에 기반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강성중, 이보임 357-370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36-소셜미디어.pdf | ||
내용 | 소셜미디어 특성에 기반한 공공공간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The Interaction Design for Public Spac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주저자 : 강성중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산업디자인전공 교수 Kang, Sung Joong Assistant Professor, Industrial Design Major, Konkuk University 공동저자 : 이보임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산업디자인전공 석사과정 Lee, Bo Im Master Candidate, Industrial Design Major, Konkuk University ------------------------------------------------------------ 논문요약 오늘날 공공공간은 개인주의 팽배로 사회적 소통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인터랙션 디 자인은 이용자들 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써, 공공공간의 기능과 가치 향 상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 공개, 대 화, 커뮤니티, 연결 등의 소셜미디어의 특성들을 공공 공간의 지향점으로 이해하고, 공공공간에서 공공성의 증진, 사회적 소통 강화를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과 소셜미디어 관계성 모색을 위한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분석,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방법을 설정하여 제시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은 이용자 간의 소통과 교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기능보다 즉각적 반응을 통한 단선적인 참여, 경관의 연출로 인한 경험 창출에 더 높은 효용 가치를 가진 다. 장소성의 배려와 지역 기반의 콘텐츠 적용은 이 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랙션 유형이나 공공메시지의 성격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 고,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 을 시사한다. 공공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은 인간적 관계가 상 대적으로 결여된 소셜미디어의 한계을 극복하고, 공 동체 형성을 통한 사회 통합을 가능케 하는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의 원리 적 용과 사회문화적인 공공공간 콘텍스트를 고려한 콘텐 츠 적용과 기술의 통합이 요구된다. 즉각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인터랙션, 지역 기반의 공공정보, 안전한 범 위 내에서의 개인 정보 공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대감을 형성하고, 대화를 통한 인간적 연결과 사회 적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다. 주제어 소셜미디어, 공공공간, 인터랙션디자인 Abstract Because of the individualized society, the function of urban public space as the space of soci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The interaction design, an equipment making the form of social relations among the users, is used for enhancing function and value of public space.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and suggest the method applying interaction design to improve publicness and strengthen social communication in public space. Wit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e meaning and value of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are analyzed and methods for applying interaction design are suggested. Case studies shows that for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is more effective in experience creation by one-directional participation and landscape display than the prompt response, exchange and social relations among the users. The consideration of placeness and application of contents based on region draws users' active participation regardless of interaction form and characteristic of public message, and has possibilities to evolve toward social relationships. Social media is useful for publicity emphasized by modern society, especially, form and communication of communities. The interaction design of public space can be a realistic measure to overcome limits of social media and to make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 form of communities. It's requested to apply principle of social media and contents considering public space context such as placeness, etc. and combine them technologically. Under the results responding promptly to interaction, regional and public information and safe range, individual information can be shared by many people, ties can be formed and interpersonal relation by communication can be developed to social relations. Keyword Social Media, Public Space, Interaction Desig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