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평창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디자인개발 활성화-양순영, 임혜숙 157-17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11-23
첨부파일 22- 평창의문화관광상품.pdf
내용
평창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디자인개발 활성화 

Cultural Tourism Product Design Development and Stimulation 
using Cultural Resources of Pyeongchang 



주저자 : 양순영   
강원대학교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강사 
Yang soon-you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t. Living Art Design 

교신저자 : 임혜숙   
강원대학교 생활조형디자인학과 교수 
Im hye-sook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ept. Living Art Design 
-------------------------------------------------------
논문요약 
인간의 사회 활동에 바탕이 되고 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의 재생산은 미래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의 필요성의 일환으로 평창의 문화자원을 조사 발굴하여 시각적 이미지를 찾아 관광기념품에 활용 할 수 있도록 디자인 개발을 활성화하는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평창군 지역은 산악지형으로 인구분포가 넓게 펼쳐져 있기 때문에 시청각적인 문화예술을 향유하기 다소 어려운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랜 전통으로 이어진 풍습과 문화유산은 다양하게 상존해 있다. 이러한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관광기념품 개발은 향후 펼쳐질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비롯한 국제적인 행사 및 지역축제장과 관광지에서 지역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평창군이 지정한 관광특산품 판매장을 조사해본 결과 판매되는 상품들은 대부분 농․특산물들이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광지를 기념하고 홍보의 역할을 하는 관광기념상품들은 앞으로 다가올 국제화시대를 열어 나갈 지역적 특성을 살리는 매개체 역할을 하므로 이에 발 맞춰야 할 기념품 개발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역문화가 드러나는 소재를 찾아 관광기념품을 개발하여 차별화 되고 특성화 된 기념품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하고자 지역의 문화자원에서 상품이미지 소재를 찾아보았다. 지역문화가 기반이 된 기념상품 개발은 관광자원에 필수적이므로 이는 지역의 제조업체들의 생산성 증가로 연결되고 일자리 창출과 함께 경제성장으로도 이어져 지역경제발전에 큰 이익을 주게 된다.   

주제어 
평창문화자원, 문화관광상품, 평창관광기념품 

Abstract 
Cultural reproduction using cultural resources, the basis of our social activities, can bring new values of the future. This study was inspired by the need to develop cultural tourism products using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imulate design development by exploring the cultural resources of Pyeongchang and utilizing it for tourist souvenirs with visual image. 
In Pyeongchanggun, it is rather difficult to share visual and cultural arts, due to the wide population distribution as a mountainous region. However, the area has customs and cultural heritage with a long tradition. Developing tourist souvenirs based on the cultural resources will play a key role in promoting the local cultures at local an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tourist spots amid the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s and other events. 
At the tourist souvenir shops designated by Pyeongchanggun, the items were examined. Most of them were agricultural products and local specialties.  Tourist souvenirs, which promotes tourist spots and holds the memory of sightseeing, serve as a medium that showcase local features. It is a crucial rol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us, tourist souvenir development is impera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stres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differentiated, specialized tourist souvenirs through materials that showcase local cultures. To that end, this study has explored product image materials among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Souvenir development based on local cultures is essential to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It is linked to boosting the productivity of local manufacturers, job creation, and economic growth. 
Thus, souvenir development is highly beneficial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area.   

Keywords 
cultural resources of Pyeongchang, cultural tourism products, tour souven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