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상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윤혜진 101-11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8-26
첨부파일 14-포스트페미니즘.pdf
내용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여성상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동시개봉 영화포스터를 중심으로 - 

Semiotics Study of Female Image of the era of Postfeminism 
- Simultaneous Movie Poster in Korea and the U.S. - 


윤 혜 진 
우송대학교 디지털미디어대학 미디어디자인학과 교수 
Yoon hye-jean 
Woosong university, Dept. of Mediadesign 
--------------------------------------------------------
논문요약 
페미니즘으로 시작된 여성 해방 이데올로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오늘날 페미니즘의 종언이라는 포스트페미니즘 시대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한 시대의 대중적 정서를 반영하는 대중매체에서도 그려지는데, 과거 몇 년 전 몇 개의 역할에 규정되었던 영화 속 여성의 역할은 이제 장르를 불문하고 다양한 이미지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가부장제’와‘여성’사이에 존재하는‘차별과 억압'이 완전히 해소되었는지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고찰되어야 할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에 한국과 미국의 영화포스터에서 여성을 어떻게 표현하고, 함의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영화포스터에 담긴 여성의 기호를 비판적 시각으로 평가하여 시대의 여성상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990년대 후반 한국과 미국에서 제작하고 동시 상영한 여성주연의 영화 2편의 포스터 4점을 선정하고,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으로 기표와 기의, 신화를 분석하고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으로 한국과 미국 포스터의 여성상에 이항대립구조와 상관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같은 내용의 영화라 할지라도 한국과 미국포스터의 기표와 기의는 정반대의 대립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가부장제 체제는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에도 뿌리 깊게 잔존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한 개인주의 의식이 깊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포스트페미니즘, 여성상, 기호학 

Abstract 
While changes in various forms, ideology of liberation of women was launched in feminism has led to the era of post-feminism that end of feminism today. This phenomenon is reflected in the age of mass media, popular sentiment making drawn in the past few years several regulatory roles, women's roles was in the movie, regardless of genre and now being expanded into a variety of images. But in Korea in society‘patriarchal system' and‘female' that exists between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has been completely resolved for a discussion of this study still needs to be pointed out as being th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tarted in the late 1990s, post-feminist era, women in Korea and the U.S. How would you describe the movie poster and to study the implications and make it objective. In particular, the movie poster criticism contained in the evaluation of women with signs of the times is done so that the women of appreciation for the study. Method of study in Korea and the U.S. in the late 1990s production and the simultaneous screening of two films starring women lead movie poster convenience to select four piece, and analysis of vessel and registration table, the mythology in the semiotics of Roland Barthe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the female image posters of South Korea and the U.S. in the semiotics of Greimas square basis. As a result, even in the film, such a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s the opposite of a poster of the signifier and the opposition groups to form the structure was patriarchal system in Korea is deeply rooted in the post-feminist era, while remaining in the United States is based on liberal individualism notice that consciousness was reflected in the depth. 

Keyword 
Postfeminism, Female Image, Sem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