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한국과 미국 30대 여성의 브래지어 착용 인지도 및 선호도 비교-김효숙, 김지민 407-41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8-26
첨부파일 46-한미 브래지어비교.pdf
내용
한국과 미국 30대 여성의 브래지어 착용 인지도 및 선호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a Wearing Awareness and Pre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Women in Their 30s 


주저자 : 김효숙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교수 
Kim, Hyo Sook 
Dept. of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교신저자 : 김지민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강사 
Kim, Ji Min 
Dept. of Apparel Design Konkuk University 
---------------------------------------
논문요약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평소 브래지어 착용실태와 선호도, 유방형태와 브래지어 치수 인지도, 브래지어 착용에 대한 불만족 요인 등을 파악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브래지어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브래지어 착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한국여성에 비해 미국여성의 브래지어 착용빈도와 시간이 더 길고 여유 없이 딱 맞게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여성은 작은 유방에 볼륨을 부여하고 자연스러운 유방모양을 만드는 것을 가장 중요한 착용효과로 생각하였고, 미국여성은 전체적인 유방을 끌어올리는 것을 중요시 하였다. 브래지어의 구성요소별 선호도에 있어서는 양국 여성 모두 몰드 컵, 와이어 有, 보통너비의 어깨끈과 옆면날개, 뒤여밈 형태를 선호하였고, 뒷면날개 모양은 한국여성 ㅡ자형, 미국여성 U자형을 선호하였다. 
본인이 인지하는 유방형태는 한국여성은 원추형(38.71%), 미국여성은 하수형Ⅰ(47.17%)이 높게 나타났고, 브래지어 치수규격은 한국여성은 75A(23.46%), 미국여성은 36C(11.32%)에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브래지어 착용 시 불편함을 느끼는 부위로는 양국 여성 모두 와이어 부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구입 후 발생하는 불만족 요인으로  한국여성의 경우 사이즈·맞음새(47.21%), 미국여성은 착용감·활동성(66.98%)을 선택하였다. 
이에 본 조사연구의 결과가 제시하는 바를 고찰하여 반영한다면 양국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브래지어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주제어 
브래지어, 착용실태, 선호도, 한국여성, 미국여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brassieres that are well-fitting and comfortable for the Korean and the American women in their 30s through the comparison and identification of their bra wearing behaviors, purchasing preferences, breast shapes, awareness of brassiere size and dissatisfaction factors of wearing bras. 
The question on the bra wearing behaviors revealed that the American women tend to wear bras more frequently and longer hours than the Korean women on a daily basis and prefer their bras to fit just right without any room to spare. For the expected benefits of wearing a bra, the responses, ‘making breasts look ample and natural’ and ‘pushing breasts upward’ we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benefits of wearing bras by the Korean and the American women, respectively. For the questions on preferred bra types, molded bra cup, wired bra, normal width shoulder straps and side bands, and back hook closure were the most commonly selected bra component types among all respondents. In relation to back shapes, ‘U-shape’ was the most preferred bra back shape by the American women, while ‘straight line’was the most preferred type among the Korean women. 
When asked about breast shapes,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women perceived their breasts to be in ‘Conical’ shape (38.71%), while most American women chose ‘SaggingⅠ’(47.17%) as their self-perceived breast shapes. As for bra size, 75A(23.46%) and 36C(11.32%)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 Korean and the American women, respectively. Most respondents from the both countries reported ‘wire’ as the most uncomfortable part of bras. About 47.21% of the Korean respondents answered ‘size and fit’ for the question concerning problems encountered after purchasing and wearing a bra, while about 66.98% of the American respondents found ‘uncomfortable’ to be most problema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are some aspects of bras that are need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construct brassieres that are appreciated by consumers from the both countries. 

Keyword 
Brassiere, Wearing behavior, Preference, Korean women, American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