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포스트모더니즘 키워드로 분석한 에이프릴 그레이만의 조형언어 연구-박지연, 손소영 189-198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4-05-25
첨부파일 24-포스트모더니즘.pdf
내용
포스트모더니즘 키워드로 분석한 
에이프릴 그레이만의 조형언어 연구 

A Study on Figurative Languages of April Greiman Analyzed 
by Keyword of Post-Modernism 



주저자 : 박지연 
동양미래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강사 
Park Ji Yeon 
Dongyang Mirae University 

교신저자 : 손소영 
수원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 
Son So Young 
Suwon Women's Colleg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현대 디자인이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에이프릴 그레이만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고 미국적인 포스트모더니즘을 구성하는 기초가 되었다. 아무도 손대지 않았을 때 처음 시도한 그녀의 어법은 임의적이고 우스꽝스러워 보였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그레이만의 미국식 포스트모더니즘의 구조는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것이었으며, 온갖 정보를 담은 시각 메시지들은 더 지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그레이만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창작 활동에도 불구하고 문학이나 건축 등의 분야와 달리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형식이나 철학을 아직 갖추지 못한 점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본 논문은 모더니즘과 확연히 구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키워드를 도출해 내고, 그 중 그래픽 디자인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5가지 키워드를 토대로 그레이만의 작품에 나타나는 조형언어를 분석해 보았다. 
그레이만의 작품에 나타난 조형언어를 살펴보면,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명제라 할 수 있는 ‘주관성의 극대화’이다. 둘째, 해체주의 디자인적 맥락인 ‘탈중심성’이다. 셋째, 정보의 명확한 전달이 목적이었던 모더니즘과 반대로 대두되어 나타난 ‘모호성의 개념’이다. 넷째, 컴퓨터의 출현으로 가능해진 중첩에 의한 ‘공간성의 표현’이다. 다섯째, 모든 가능성을 작품으로 끌어들인 ‘다원적 효과’들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레이만의 조형언어들은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미국식 포스트모더니즘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디자인 도구의 변화 흐름에 따라 다양한 실험적, 독창적 작품 세계를 펼쳐나간 실험정신과 작가 정신에 존경을 표한다. 또한 21세기 후대 작품들에 영감을 준 하이퍼매개의 원형으로서, 그레이만이 현대 그래픽디자이너들의 작품에 미친 구체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포스트 모더니즘, 에이프릴 그레이만, 조형언어 

Abstract 
As modern design stepped into digital age, April Greiman explored a new area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American style of post-modernism. When her dialogue was used first, it  appeared arbitrary and ridiculous. However, it was because it was attempted first without any other's touch. Since mid-80s, the structure of Greiman's American style of post-modernism was a new one which no one had ever thought of, and the visual message containing all types of information was more intellectual. 
However, in spite of unique and innovative creative works of Greiman, it is very unfortunate that they did not establish theoretical forms or philosophies that can be defined clearly unlike such areas as literature and architecture.   
Thus, this study derives out the keyword of post-modernism distinct from modernism, and analyzed the figurative languages found in Greiman's works based on the 5 key words among them which are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in graphic design.   
To look at the figurative languages in Greiman's works, the first thing we can notice is 'maximization of subjectivity' which is the basic proposition of post-modernism. Second, 'de-centering' in the context of deconstructivistic design. Third, 'concept of ambiguity' which appeared in opposition to modernism with its purpose of clear delivery of information. Fourth, 'expression of spatiality' by overlapping which became available with the advent of computer. Fifth, 'multi-dimensional effects' which induce all possibilities into the work.   
Such Greiman's figurative languag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sitioning of American post-modernism in graphic design field. The present researcher hopes that there would be various figurative analyses on the modern designers' works, expressing respect to Greiman's experimental mind and authorship in her unique and experimental works along with the changes in design tools. 

Keyword 
post-modernism, April Greiman, figurative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