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패키지디자인 조형요소의 변화가 소비자태도와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이철영, 전윤희 225-233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4-02-24 |
첨부파일 | 33-패키지영향.pdf | ||
내용 | 패키지디자인 조형요소의 변화가 소비자태도와 패키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Consumer's Responses to Design Element Variations in Package and their Effects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Product Package 주저자 : 이철영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교수 Lee, Chull Young Hongik University 공동저자 : 전윤희 지이디 대표 Jun, Yun Hee G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시점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패키지에 대하여 리뉴얼 시 조형요소 변화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연구하고 각 조형요소 변화가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조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가상의 패키지 실험물을 제작하고, 디자인이 변화된 순서에 따라 5종류의 설문지로 작성한 후, 20, 30대의 수도권 거주 남녀 380여명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 조형요소별 변화 차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모두 유의하였으나, 조형요소별 변화 차이를 인식하는 소비자의 민감도는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조형요소별 변화가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수준이나, 개인의 제품 디자인 중요성 인식 정도와 연관되어 패키지 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Given the importance of package as one of the most salient at the purchase point, there are relatively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package design. When it comes to reviewing the product package, it has seldom been based on the rigorous market tests. Experimental evidences on what makes the consumers to respond favorably to a new package are still at large. This paper delves into the individual role of design element changes in package and their impact on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s the package image. And, their interactive effects are analysed in relation with perceived importance of product design in general. The research questions ar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on the above mentioned two tasks. Over 380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in the greater Seoul area a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s sensitivity to package design changes is confirmed as it varies differently with an individual design element. The interactive effects, however, did not appear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paper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ackage design teams. We urge further studies in the line that would help to better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how we manage to create or renew package design effectively. Keyword package design, visual elements, consumer response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