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근대 가구 디자인의 유형 분류와 양식적 특징-이옥분(241-250)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3-08-23
첨부파일 39-근대가구디자인.pdf
내용
근대 가구 디자인의 유형 분류와 양식적 특징 

The Style Characteristics and Type Classification of Modern Furniture Design 


이 옥 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디자인학 
Lee Oak-boon 
Kookmin university 
---------------------------------------------------
논문요약 
이 연구는 거주 공간이 근대화되면서 나타난 가구의 근대적 변화를 고찰하고 가구 디자인의 유형을 분류하며 그 양식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가구 디자인의 근대적 성격을 밝히며, 그 스타일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범위와 대상은 근대적 거주 공간이 확립된 일제시기의 생활공간용 수납 가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 공간이 근대화되면서, 가구는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재배치가 이루어졌고, 수납 효율을 강화하는 형태로 변화했으며, 입식 공간이 생겨 좌식과 입식 가구로 이원화되었다. 
둘째,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가구 디자인은 한식 개량형, 화양절충형의 두 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두 가지 유형의 양식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식 개량형은 전통 가구의 기본형이 유지되면서 공간 활용과 수납 기능을 높여 변형되었다. 화양절충형은 외래 가구의 기본형과 문양이 섞인 형으로 근대 가구 형식의 기본 틀이 되었다. 서양 가구를 기본으로 일본에서 개량된 양가구가 대표적이었다. 
넷째, 두 가지 유형과는 다른 새로운 조형 방향으로 모던 가구가 일본으로부터 소개되며, 기능주의적 조형 개념과 표준화의 생산 방식이 일부 도입되기 시작했다. 

주제어 
생활공간용 수납 가구, 한식 개량형, 화양 절충형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y the furniture design considering modern changes of furniture while the residential space is modernized. The scope of this study show the modern characteristics of Korean furniture design and arrange systematically the modern style. The target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cabinet for residential spa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modern living space has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idential space is modernized, furniture was re-arranged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each room and chang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torage and divided into dual category, sitting furniture and Western Style furniture as stand-up space generated. 
Second, modern furniture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2 types, improved Korean style, compromised model of Japanese/Western type. 
Thir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2 types are as follows. The improved Korean style was modified by improving space application and cabinet function while keeping the basic type of traditional furniture. The compromised model of Japan/Westen was a mixed form blending the basic type and the pattern of foreign furniture, and it was the basic structure of modern furniture. Based on western style furniture, type compromised furniture improved in Japan was typical. 
Fourth, the modern furniture as a new stream was introduced from Japan and some functional formative concept and a production method of standardization was partly started introducing. 

Keyword 
cabinet for living space, improved Korean style, compromised model of Japan/Wes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