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패션디자인 저작권법에 대한 논의와 미국 패션업계 실무자들의 패션상품기획 과정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이재일, 이윤정(323-33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3-08-23
첨부파일 49-패션디자인.pdf
내용
패션디자인 저작권법에 대한 논의와 미국 패션업계 실무자들의 패션상품기획 과정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U. S. Fashion Industry Professionals’ on Fashion Design Copyright Law and Creativity in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주저자 : 이재일 
미국 시애틀퍼시픽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교수 
Lee, Jaeil 
Dept.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Seattle Pacific University 

교신저자 : 이윤정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교수 
Lee, Yoon-Jung 
Dept. of Home Economics, Korea University 
---------------------------------------------------
논문요약 
본 연구는 미국에서 최근에 의회에 제시된 패션디자인 저작권법의 실효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패션디자인 실무자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패션디자인 지식재산권 보호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시애틀 및 근교에서 활동하는 9명의 패션 실무자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통하여 패션상품기획 과정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정의와 복제와 해석의 차이, 다른 디자이너의 작품을 모방하는 것의 윤리성에 대한 문제, 패션디자인의 저작권에 대한 법적 보호 필요성에 대해서 질문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통하여 전반적으로 미국의 패션업계 실무자들은 패션상품기획 과정에서의 창의성에 대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의 개발뿐 아니라 목표고객에 적합하도록 변형하는 과정 또한 창의적 활동으로 여기고 있으며, 패션업계에서의 복제는 패션디자인 저작권 보호의 문제를 윤리적 측면보다는 경제적 또는 실용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패션디자인, 저작권, 창의성, 혁신적 디자인 보호법, 미국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U. S. fashion professional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Design Protection Act, the bill introduced to the U. S. congress in 2012,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to Korean fashion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For this purpose, nine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in the fashion industry in Seattle and vicinity areas were interviewed. Through the interviews, we asked their opinions about the meanings of creativity in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he difference between line-to-line copy and interpretation;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referencing others’ design; and their perception of fashion design copyright law. 
In general, the interviewees considered the activities such as alterating the details or fit of a successful design customized to their target market as a part of creativity in fashion product development. And their perception of fashion copyright issues reflected more economic or practical perspectives rather than ethical perspectives. 

Keyword 
Fashion Design, Copyright, Creativity, Innovative Design Protection Act, United States of Amer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