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한국디자인포럼 39호 게제 논문 리스트(접수순)
김준교, 이고은 (7-16)
이상 시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의 환각이미지
- 오감도 중 ‘시 제11호’와 ‘시 제13호’를 중심으로 -
배용진, 권오현 (17-30)
포스터칼러의 채도감소에 따른 색상변화
석혜정, 한승희 (31-40)
학령전기 비만 여아를 위한 한복 저고리 원형 개발
김호곤 (41-52)
시스테믹 디자인의 이론적 근거와 연구 과제
이고은, 김준교 (53-61)
이상 시에 나타난 큐비즘의 특성과 현대 디자인의 상관성
- 건축무한육면각체 중 <AU MAGASIN DE NOUVEATES>를 중심으로 -
김순분, 이영숙, 최영림 (63-72)
다이닝 패션소품의 사용실태와 디자인 선호
이영주, 김성계 (73-82)
기업 페이스북 팬페이지 콘텐츠 연구
한왕모, 김선미 (83-92)
경험 디자인 요소를 이용한 아동용 벽지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이영숙, 안용준 (93-10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상품기획 및 개발
전희성, 이정수 (105-114)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이용 요인
전진이, 김성계 (115-132)
부산도시철도 공간의 공공디자인 효용 연구
– 안내디자인을 중심으로 -
양순영, 임혜숙 (133-142)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 강릉의 역사인물 난설헌 허초희 작품을 중심으로 -
김광순, 손동범, 장병혁 (143-152)
국방웰니스 개념을 활용한 국방분야 전력지원체계의 우선개선물자 선정연구
-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국방분야 디자인로드맵개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
진은미, 김장석 (153-162)
공간의 이미지에 미치는 조명디자인의 영향분석
- 주택 식당공간의 식탁조명을 중심으로 -
양 린 (163-176)
홈 텍스타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 패션 브랜드의 홈 컬렉션 런칭
-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
김영석 (177-189)
‘풀 앱춰(full aperture)’형의 금속캔 제품에서 개봉시 사용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제품디자인 연구
- 실버세대를 중심으로 -
정동환 (191-20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펜스 게임 캐릭터 디자인 연구
- 신라 제30대 문무왕(文武王)을 중심으로 -
김정아, 김준교 (203-212)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기능 GUI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연구
- e-bool 어플리케이션의 메모기능 사례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전정일, 강인애, 배영윤, 황현정 (213-228)
리틀·주니어 야구복 상의 기준패턴 개발
황현정, 김혜숙, 박진희, 최경미 (229-240)
대량 맞춤을 위한 야구복 하의의 생산 시스템 설계
김향원, 남용현 (241-250)
‘융합‘개념의 이해와 디자인 환경에서의 의미
김진우 (251-260)
가구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가구디자인 작품을 중심으로 -
목진요 (261-270)
키네틱 랜드스케이프 “하이퍼매트릭스”
- 여수엑스포 현대자동차그룹관의 초대형 키네틱아트 작품을 중심으로 -
최경미, 류영실, 김인화, 전정일 (271-280)
시니어 브라탑의 사이즈스펙 개발
박일권, 이은정, 윤지영, 이경현 (281-290)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의 색채 적용성 비교
최양현 (291-302)
제조비 절감형 차량용 블랙박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30대 남성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성향 중심으로 -
김희준 (303-312)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활용에 관한 연구
- 작품 MIXIST를 중심으로 -
장장자, 김준교 (313-324)
픽사 3D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인물형 캐릭터의 색채분석
- 사상체질, 심리 유형, I.R.I 색채 이미지 스케일 중심으로 -
이정화, 전정일, 최경미 (325-336)
자동패턴설계를 위한 40대 성인 남성 체형의 특징과 유형화
김정실 (337-346)
한국전통꽃창살문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연구
강남미, 이운형, 주현경, 현태선 (347-356)
모유수유관련 지식 및 교육정보 평가
- 웹 조사설계 시스템 디자인 개발을 통한 수유 트렌드 분석 -
최영롱, 정의철 (357-368)
아케이드게임의 감성 형성 과정 분석을 통한 게임 인터렉션 디자인 방향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