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모유수유관련 지식 및 교육정보 평가-강남미, 이운형, 주현경, 현태선(347-35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3-05-23
첨부파일 45-모유수유.pdf
내용
모유수유관련 지식 및 교육정보 평가 
- 웹 조사설계 시스템 디자인 개발을 통한 수유 트렌드 분석 - 

Breastfeeding Educ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Web survey system design and Trends of Breastfeeding- 


주저자 : 강남미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의료생명연구소 교수 
Kang Nam Mi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onkuk University 

공동저자 : 이운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광고홍보학과 박사과정 
Lee Woon Hyung 
Hongik University 

공동저자 : 주현경 
한국영상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Joohyun Kyung 
Lecturer, Dept. of Children’s Education,  Mokwon University 

교신저자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Taisun Hyun 
Professor,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본 논문은 한국여성의 수유관련 지식 및 교육정보 등의 트렌드를 평가하기 위해 웹 기반의 조사설문시스템을 디자인 개발하여 서울특별시 거주여성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한 연구이다. 횡단면 인터넷 웹메일 조사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허락을 받아 2008년 4월부터 5월까지 아기의 월령이 24개월 이하인 여성 70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 Program(Ver. 18) 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디자인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유관련지식, 수유행동과 관련된 특성의 세 가지 부분을 포함한 웹 페이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된 웹 조사설문 시스템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자료에 대하여 서울시 거주 여성의 모유수유율은 아기의 월령이 한 달 증가할수록 1.47% 감소하였으며, 전체 모유수유 지식범위는 2에서 12사이로 평균지식정도는 8.9점이었다. 직장이 없는 경우는 아기의 월령이 한 달 증가할수록 1.83% 모유수유율이 감소하였으며 직장이 있는 경우는 1.37% 감소하였다. 두 그룹을 비교하면 직장을 가지고 있는 여성의 모유수유율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대부분의 아기의 월령에서 낮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두 그룹의 회귀직선을 비교함으로써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렇게 본 연구를 위해 맞춤형으로 디자인 개발된 조사설계 시스템으로 조사된 결과를 통해 직장에서의 여성을 위한 모유수유환경을 증진시키는 것이 서울시 여성들에게 모유수유를 권장하기위한 중요한 수유트렌드 교육 전략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효율적인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조사시스템 디자인 설계, 모유수유, 웹사이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knowledge, practice and problems existing among mothers regarding breastfeeding. A cross-sectional internet web-mail surve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from April to May, 2008.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mothers who had babies under 24 months of age with the permission of the subjects (N=708).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ections; sociodemographic questions, the knowledge, and practice toward breastfeed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PSS Program(Ver. 18) are as follows: The breastfeeding rate decreased by 1.47% per month. Overall knowledge regarding breastfeeding in the study population was 8.9 (Range 2-12). Employed mothers' breastfeeding rates were lower than those of unemployed moth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breastfeeding on the job is an important strategy to encourage Korean women to breastfeed. In addition, an effective web interface design is needed. 

Keyword 
Education system design, Breastfeeding practice, 
Environment for breastfee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