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한국디자인포럼 38호 게재 논문 리스트 (접수순)
김호곤 7-16
회귀계수를 이용한 디자인 요소의 가중치 부여 방법
이경희, 김새봄, 최정희 17-26
렌티큘러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디지털 자연주의 패션디자인 개발
장현주, 장애란 27-38
문화원형을 활용한 패션상품개발을 위한 조형성 분석
- 민화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
장애리, 최선형 39-48
패스트 패션 브랜드 마케팅믹스 요소가 추구혜택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정의철, 이연숙 49-58
환경조성 참여디자인 도구 활용 사례를 통해 본 발전방안
김지인, 강혜승, 이지윤 59-72
매화문양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 개발
- 레이저 커팅 기법을 중심으로 -
송은주 73-82
예술기반 기업교육연구의 최근 경향
최철재 83-91
온라인쇼핑몰 디자인특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93-102
SNS 모바일 메신저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
-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
장애란, 김현미 103-114
제주전통 해녀복의 구성법을 응용한 가방 디자인
김경화 115-129
한국적 디자인을 적용한 감성이미지 연구
-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
이란옥, 김효숙 131-142
특수 체형을 위한 상의 원형 개발
김지민, 김효숙 143-156
3D 측정치를 활용한 30대 여성 체간부 체형 분류
김지영 157-163
한국 전통복식의 색채전달에 적합한 표준 색채 공간
한지숙, 이운형 165-174
위치기반 서비스(LBS)를 활용한 모바일 마케팅 분석
- 국내 위치기반 SNS(LBSNS) 앱을 중심으로 -
신정란, 황진숙 175-188
자기 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 일치가 청바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명옥 189-198
특산물 가공식품 관광 상품화를 위한 패키지 디자인 연구
- 마늘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
김지혜, 황진숙 199-214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형숙, 김성남 215-224
미용실 소비자의 감성지능이 감성영역별 감성서비스
지각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위리, 임경호 225-234
눈 형상의 차용에 의한 포스터 디자인 표현 연구
김덕순, 김준교 235-242
플랫폼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eBook을 위한 편집디자인 재개념화
최유미, 정의태, 연명흠 243-252
국립해양박물관 관람동선 분석을 통한 가상 어플리케이션 메뉴구성 개발에 관한 연구
한정민, 강혜승 253-264
국내 화장품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색채이미지 연구
- 고가 브랜드와 중저가 브랜드의 B.I와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박은하, 윤준성 265-274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사진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함연자 275-286
미국 사회에 나타난 촐로 스타일의 패션 이미지
김철기, 김민정 287-297
프랙탈 차원을 이용한 미술작품 비교 분석
- 몬드리안, 칸딘스키, 에셔, 잭슨폴록의 작품을 중심으로 -
윤수인, 강혜승 299-308
하이브리드 패션의 융합 유형과 발달
- 21세기 기술과 패션디자인의 융합을 중심으로 -
이혜주 309-321
중소도시의 도시색채디자인 사례에 관한 연구
- 프랑스 낭시와 영국의 노팅햄을 중심으로 -
문선욱 323-332
도서지역 슬로시티 경관색채 비교연구
강병환, 김덕남 333-344
소화기의 사용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최 기, 지정용 345-354
친환경 페인트를 활용한 목 공예품 및 목재가구의
다양한 표면장식기법 개발방안 연구
- 색의 병치혼합효과와 목 조각기법 응용을 중심으로 -
조아라, 이윤정 355-366
소비자의 독특성 추구경향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
콜레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상욱, 권기정 367-376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의 디지털 퍼블리싱 커뮤니케이션 연구
이정일, 이연숙, 김윤수 377-386
3차원 공원조성프로그램의 사용성 평가 연구
김건아, 김철기, 김민정 387-397
인터넷쇼핑몰의 상품정보제공 문제점 분석
김윤희 399-410
2000년 이후 판타지 영화에 등장하는 슈퍼히어로의 복식미
신은주 411-420
아두이노 기반의 DIY Pacduino 키트 개발
이철영, 이종락 421-432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환경과 개인창의성 관계에서 동기부여의
매개적 영향에 대한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