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화장품 브랜드숍 서비스스케이프가 스토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김지인, 진기남, 강혜승 127-138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2-08-26
첨부파일 25-스토어이미지.pdf
내용
화장품 브랜드숍 서비스스케이프가 
스토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ervicescape of cosmetic brandshop 
on store image 

주저자 : 김지인 
단국대학교 인터하이브리드디자인 전공 박사과정 
Kim, Ji-In 
Dept. Inter-hybrid Design, Dankook University 

교신저자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Jin, Ki-Na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Wonju Campus, Younsei University 

공동저자 : 강혜승 
단국대학교 패션산업디자인학과 교수 
Kang, Hae-Seung 
Dept. Fashion Industry Design, Dankook Univers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논문요약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매장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화장품 브랜드숍인 네이처리퍼블릭과 에뛰드하우스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해 실증 연구를 했다. 연구 모델은 베이커의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을 기반으로 상품의 차원을 추가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매장 간 서비스스케이프에 있어서 매장 분위기는 네이처리퍼블릭이,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에뛰드하우스의 평균값이 높았다. 둘째, 네이처리퍼블릭은 매장의 서비스스케이프의 모든 항목에서 브랜드 컨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반면, 에뛰드하우스의 경우 서비스스케이프의 일부 항목에서만 브랜드 컨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셋째, 매장의 이미지의 변이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은 매장의 디자인 요인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외관, 실내 인테리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졌다. 상품 요인에서는 상품 디자인보다 상품군이 매장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 
앞선 두 연구 결과는 매장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컨셉을 하나로 집중시키는 편이 효과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마지막 연구 결과는 매장의 외관과 실내 인테리어의 디자인을 매장 이미지 관리를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제어 
서비스스케이프, 매장 이미지, 브랜드 숍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influence the store image the most among the factors constitute service environments. To do this, the cosmetic brandshop Nature Republic and Etude House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on them was conducted. The investigation was modeled after Baker's servicescape and the dimension of products was added.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ed. 
  First, the mean values of inter-store servicescape of Etude House were higher than those of Nature Republic, except for the store atmosphere. Second, Nature Republic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rand concept and the servicescape factors in stores. On the other hand, Etude House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in few factors of servicescape. Last, the factor influences the store image the most was the design factors of the store. Among the design factors, especially,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product factors, the assortment of products had more strong influence on the store image than the design factors of products.   
 First and second results suggest that unified brand concept can be more effective in order to deliver the desired brand image through stores. Last result shows the possibility of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stores as the strategic tool for the management of store image.     

Keyword 
servicescape, store image, brand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