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패션커뮤니케이션의 감성 매체로서의 증강현실 특성-이지현, 이은혜 7-20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01-패션커뮤.pdf | ||
내용 | 패션커뮤니케이션의 감성 매체로서의 증강현실 특성 Augmented Reality as an Emotional Communication media on Fashion Communication 주저자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조교수 Jee Hyun Lee Dept.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공동저자 : 이은혜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과정 Eun Hye Lee Dept.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이 연구는 2010년도 연세대학교 교내학술연구 지원에 의한 결과임 ------------------------------------------------------------ 논문요약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에 기반한 이미지 특성을 규명하고, 패션의 정보와 이미지 전달을 목적으로 하 는 패션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활용되고 있는 증강 현실의 감성매체로서의 특성과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기 술의 활용 범위, 활용 목적 및 그에 따른 이미지 표 현 형식 등을 고찰하고, 감성커뮤니케이션이 중시되 는 패션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을 위해, 다감각적 정보 의 통합적 제공이라는 증강현실의 이미지 표현 특성 과 표현 효과를 실증적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증강현실과 증강현실기술이 사용된 패 션커뮤니케이션의 이미지 표현 특성을 활용요소, 기 법, 대상, 방법, 구조 등으로 분류하였고, 표현 효과로 는 체험, 유희성, 모호성, 비물질성, 이질성, 서사적 구조, 정보 확장, 가치 확장 등이 있었다. 증강현실의 이미지 표현요소와 기법, 표현 효과를 중심으로 한 유형의 분석내용을 현재 패션커뮤니케이 션에 나타나는 증강현실 사례들의 이미지 표현 방법 및 표현 효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현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패션커뮤니케이션의 경우 이미지 요소와 활용 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방법적 측면에서는 가상물체와 의 혼성 및 공간 혼성으로 제한되어 있었으며, 유희 성, 이질성과 비물질성을 중심으로 가상성의 간접적 체험을 주로 표현하고 있어 정보의 확장, 가치 확장 이라는 측면에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터렉티브한 소비자와의 커뮤 니케이션과 몰입을 위해서는 구조면에서 보다 개방적 인 구조로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 디지털 환경은 패션커뮤니케이션 매체와 방법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증강현실, 가상현실로 확장되 는 환경의 변화를 감안할 때 패션의 감성적 커뮤니케 이션 방법은 보다 인터렉티브한 체험의 구조로 확장 되고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증강현실, 패션커뮤니케이션, 감성커뮤니케이션 Abstract Today, the virtuality is an influential factor of digital society and is changing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more plurally and more intera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 as a media of emotional communication, and the analysis on the possibilities of fashion communication using A.R. to intensify th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s a result of stud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of A.R. and fashion communication, however, the methods of fashion communication based A.R. were limited in a hybrid with virtual images and a spatial hybrid to optimize the experience and sensible amusement.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was complete and closed. To be an emotional fashion communication, the structure should be extended to an open structure or a narrative structure as a consumer participating communication. The open and interactive structure is a characteristic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the synthetic experience with virtuality is a characteristics of A.R..The fashion communication using A.R. could reinforce the individuality, plurality and deconstruction of contemporary fashion. Keyword Augmented Reality, Fashion Communication, Emotional Communica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