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조화로운 도시경관 창출을 위한 “SIGN디자인” 적용 방안-김철우, 윤재성, 최경옥 87-96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09-조화.pdf | ||
내용 | 조화로운 도시경관 창출을 위한 "SIGN디자인“ 적용 방안 -광양시 칠성 인덕로를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Plan of "Sign Design" to Create the Harmonious City's Landscape - Focused on the Gwangyang Chilsung induc Street - 주저자 : 김철우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부교수 Kim, Chul-wo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공동저자 : 윤재성 전남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부교수 Yun, Jae-Su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교신저자 : 최경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부교수 Choi, kyong-Ok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 This Study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 논문요약 사인디자인(Sign Design)은 도시경관과 건물, 인 간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다. 사인은 이윤창출을 위하여 상점의 특성과 상품 판매의욕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시각요소를 기 본으로 조형성이 가미된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사인은 인류에게 친근감 있고 역동적이면서도 부드러운 문화를 파생시키고 아름다운 조형성을 근 간으로 광고와 브랜드 효과를 통하여 부가가치를 증 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인 디자인의 표현방식은 업종이나 건물과의 조 화 위치, 재료의 선택, 서체의 선택, 색채의 적용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LED” 활용은 첨단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아나 로그적 표현과 대조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사인디자인은 도시와 인간의 감정을 소통시키는 중요 매체로서 걷고 싶은 거리, 행복한 거리, 다시 찾고 싶은 거리 연출을 위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인디자인은 시각, 촉각, 청각에 대한 호소력이 있으며, 상품 구매의사 유도와 브랜드별 선호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시 칠성 인덕로를 중심으로 사인디자인의 적용사례분석과 사인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조형성, 설치형태, 상품구매 등을 연구하였다. 또한 성별 교차분석, 세대별 교차분석 빈도분석 을 토대로 조화로운 도시경관 창출을 위한 바람직 한 사인디자인 방향을 모색하였다. 향후 사인디자인은 개발에서 설치에 이르기까지 도시경관 속에서 생존하는 인간의 행복을 위한 생동 감 있는 디자인 연출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노 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SIGN디자인, 도시경관, 조형성, Abstract The Sign Design forms the important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city's landscape, buildings, and human. The Sign plays the role of increasing the selling desire and the character of goods for the creation of profits, and it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added the formative character based on the visual elements. The Sign derives the intimate, dynamic, and soft culture to the human, and it plays the role of increasing the added value through the advertising ba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 and the brand effectiveness.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Sign Design can be directed variously by the type of business, harmonious location with buildings, choice of materials, choice of the style of handwriting,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lor. Especially, the using of "LED" in the digital age is become the most advanced phenomenon, and it is contrastive to the expression by the analog. The Sign Design shall be the design to produce the street want to walk, happy street, and the street to visit again as the important medium communicating the feeling of human with the city. The Sign Design has the appeal for the sense of sight, touch, and hearing, and it is being formed the important element that influences directly to the inducing the selling desire of goods and the preference by the brand.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application examples of Sign Design with Indeokro, Chilseong-ri, Gwangyng City as the center was performed, and the visual elements of Sign Design, the formative character, type of installation, and buying goods were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e crossing analysis by sex, and generation, and frequency analysis, the direction of proper Sign Design was groped to create the harmonious city's landscape. In the future, the Sign Design from the development to the installation shall be performed the continuous studying and effort for the producing the dynamic design for the human happiness in the city's landscape. Key word Sign Design, City's Landscape, Formative Charact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