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애니미즘 캐릭터와 일본의 신관-정동환 207-216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21-애니메.pdf | ||
내용 |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애니미즘 캐릭터와 일본의 신관 -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을 중심으로 - Animism Characters in Animation and the Japanese View of God - focusing on Miyajaki Hayao's works - 정 동 환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Ph.D.) Jung, Dong-Hwan Dongguk University Institute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 ----------------------------------------------------------- 논문요약 애니미즘은 영적인 존재를 믿는 것으로 일본인들 의 삶과 문화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들은 시공 간을 넘나드는 다양한 형태의 신을 창조 했으며 특히 지신의 조상까지 신의 반열에 올려놓고 있다. 특정 신 에 대한 투철한 진리관을 가지고 종교생활을 하기보 다는 자기의 유익을 위하여 종교의식이나 활동에 참 여할 만큼 애니미즘은 그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갖 는다. 신사(神使;しんし)는 신의 뜻을 대신하여 세속과 접촉하는 자로서 특정 동물로 표상되어 나타난다. 그 상징적 동물들은 일본인의 종교적 정체성의 뿌리이며 파충류에서 조류까지, 포유류에서 상상의 동물까지 매 우 다양하다. 특정 동물이 신의 뜻을 전해준다는 설화 는 일본 신화 속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 는 일본을 대표하는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 야오의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동아시아의 큰 축 을 이루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 신화ㆍ지리서인 『산 해경』의 캐릭터 분석을 통해 일본인의 신관과 아울 러 동아시아의 신화적 유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 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우리의 신들의 이야기 를 발굴하고 연구하여 우리 문화와 정서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계속 개발하고 만들어 나간다면 우리의 신 화가 글로벌 문화콘텐츠로 발전하는데 큰 힘이 될 것 이라 생각한다. 주제어 애니미즘 캐릭터, 미야자키 하야오, 산해경 Abstract Animism has an effect on human beings, and therefore it can be said a belief in spiritual beings controllable by consciousness, which may help polytheistic Japanese people believing in various gods, ancestor gods, and various spirits have religious spirituality of animism. Rather than believing in a certain god with an intelligible view of truth, their belief is characterized by animism in which they participate in religious rituals or activities for their own good. "Shinsi(しんし)" appears the symbolic animals on behalf of the God which has contacts with the Human world. The symbolic animals are the root of religious identifications of the Japanese and they are many different animals from kinds of reptile to kinds of birds, or frim kinds of mammals to kind of the imaginary creature. And we can easily find the old stories about a special animal that has passed His will to a man in Japanese mythology. Animism as a basis of their view of god can be said to be the root of religious identity deep inside of Japanese peop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ximity between the Japanese view of god and East Asian myths, by comparing works of Miyajaki Hayao, leading artist of Japanese animation and Sanhaegyeong, representative myth and geography book of China as another important axis of East Asia. If we find tales of the Korean God, and also research and develop the contents that are agreeable to the Korean sentiment by this research, Korean mythology will have the power to develop global cultural contents. Keyword Animism Characters, Miyajaki Hayao, Sanhaegyeo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