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임영숙 217-22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8-24
첨부파일 22-학습유형.pdf
내용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 
Learning Styles of the Interior Design Students and thei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임 영 숙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교수 
Youngsook Lim 
MyongJi University 
------------------------------------------------------------ 
논문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 
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실내디자인전공 남녀 대학생 303명 
을 대상으로 학습유형, 전공적성,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습유형에 있어 전공에 따른 지배적 
인 학습유형이 있었으며, 직접해보고 모험을 좋아하 
며 직관적 문제해결방법을 선호하는 적응자유형이 가 
장 많았다. 둘째, 학업성취도에 있어 설계스튜디오과 
목이 가장 흥미롭고 성적이 뛰어나며, 이론수업이 가 
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지배적 성향인 
적응자유형과 입시 실기시험 및 입학 전 전문미술교 
육경험이 있는 경우, 설계스튜디오수업에 대한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셋째, 전공적합도와 전공적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이었으며, 성별, 입시실기고사, 
입학 전 전문 미술교육경험 여부, 학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전공에 만 
족하였으나, 고학년에서 전과의사가 높고 입학 후 전 
공에 대한 기대치가 저하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전 
공적성과 만족도 전반에 걸쳐 남자가 여자보다 더 긍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은 학업성취도와 
전공적성에는 영향을 끼친 반면, 전공만족도에는 차 
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전공적성도가 높을수록 전 
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로서,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부합 
된 구체적인 교수법 개발과 기타 인접학문분야 전공 
자들과의 학습유형에 대한 비교연구가 제안된다. 또 
한, 본 연구에서 관찰된 전공만족도에 있어 고학년에 
서 두드러진 저하 현상 및 성별에 따른 차이, 전공적 
성에 있어 입시실기시험과 입학 전 전문미술교육의 
영향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하여 교과과정과 입시제 
도, 그리고 유사전공간의 학제적 통합에 대한 총체적 
논의와 제고가 요구된다. 

주제어 
학습유형, 전공적성, 전공만족도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earning styles of the interior 
design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i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03 participa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dministerd. Findings indicated that; 
1) students tend to be accommodator dominantly in learning 
styles, 2) overall positive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aptitud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sex,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More 
specifically, students with accommodator type did better in 
studio class and men reported overall highe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compared to women. Senior 
students tend to have higher intention to transfer to 
different major and negative expectations to their current 
major.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were major factors to determine 
aptitudes toward major.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that incorporate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s and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in related 
areas such as architecture were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Also,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found in this study in discuss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merging of departments were addressed. 

Keyword 
Learning Styles,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