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한국적 감수성과 표상을 반영한 지역 상징 캐릭터 개발-조용진 227-238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23-한국적.pdf | ||
내용 | 한국적 감수성과 표상을 반영한 지역 상징 캐릭터 개발 - 서울 상징캐릭터 해치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symbolic local characters with Korean sentiment and emblem - Focus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Seoul's symbolic character, “Hatch” - 조 용 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시각디자인과 Cho yong-j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Kookmin University --------------------------------------------------- 논문요약 1990년대 후반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된 이후 현재 까지, 대다수의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들은 저마 다 고유한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아이덴티티 디 자인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해 왔다. 이는 지역 간, 도시 간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는 시 대적 흐름 속에서 각 지자체들이 타 지역과 차별화된 아이덴티티 확립과 매력적인 이미지 구축을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로 받아들여 왔음을 반증하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문화경쟁 시대에서 대부분의 지자 체들이 지역 브랜드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도입을 가 속화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많은 수의 지자체 상징 캐릭터가 개발 및 활용되고 있다. 이는 친근한 이미 지를 바탕으로 공감과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한 캐릭터 의 매체적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지자체의 전략과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지자체 캐릭터가 그 지역의 특징을 차별화된 이 미지로 표출하고, 장기적으로 지역민의 사랑을 받음 으로써 지역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사례는 많지 않다. 지역의 상징 캐릭터가 생명력을 얻기 위해서는 가 장 먼저 지역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그들의 사랑과 지 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캐릭터는 대중 들 사이에서 살아있는 존재로서 생명력을 얻게 되고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으며 나 아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문화 콘텐츠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 지역민과 지역문화가 지닌 특징적인 한국적 감수성과 표상이 드러나 있는 친근한 캐릭터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 전통 문화 속에서 나타난 한국적 감수성 및 표상과 캐릭터의 매체적,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을 탐구함으로써 보다 경쟁력 있는 지자체 캐릭터 개발을 위한 방향성에 대 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상징캐릭 터 ‘해치’의 개발 과정에 대한 탐구를 통해 그 방 향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주제어 한국적 감수성 및 표상, 캐릭터 디자인, 지방자치단체 Abstract Up until now since late 1990s, when the era of local governments began, many of them have tried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by creating identity design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each region's distinctive local features. That indicates that they have taken i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that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differentiated identity establishment and attractive image creation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of more fierce rivalry among regions and cities. Especially, most local governments speed up introducing local brand and making identical design when the world is competing for cultural dominance which resulted in a great deal of local character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hat is reflective of local governments' strategy and commitment in order to actively utilize the characters as the special media which are easy to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based on friendly imag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examples showing that local governments' characters express their differentiated unique images and be recognized with its worth as a local brand by receiving local people's affection in the long run. Above all, it is important for the local characters to win local people's affection and support to last its vitality through communicating with local people. By doing this, characters could have life force as living existence throughout the public and become representative local emblem, growing as cultural contents equipped with glob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get the outcom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tinctively stereotyped friendly characters representing local people and their culture with Korean sentiment and emblem. This thesis is to find a way to develop more competitive local characters through analyzing Korean sentiment and emblem shown as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passed down with its focus on public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al characters as media features and researching its links between them. To achieve this, it intends to propose the specific direction by research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on Seoul's symbolic character, "Hatch". Keyword Symbolic Local Character with Korea, Character Design, Local Governm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