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의 체험적 표현 특성 연구-김미영, 문정민 413-422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41-브랜드.pdf | ||
내용 |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공간의 체험적 표현 특성 연구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Expression for Brand Identity in Space - Focus on Flagship Stores- 주저자 : 김미영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박사과정 Kim Mi-Young Chosun University 교신저자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부교수 (Ph.D) Moon Jeong-Min Chosun University ------------------------------------------------------- 논문요약 오늘날 경제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정보화 사 회가 되면서 다양화, 다변화를 중시하는 사회적 변화 가 일고 있다. 이는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문화적 환경으로 변화되면서 브랜드 체험에 따른 감성의 유 발과 구매욕구의 충족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브랜드 체험전략을 사용하며, 브랜드 체 험수단의 하나로 브랜드 스토어를 활용하고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스토어 중에서 브랜드 아 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장인 플래그쉽스토 어를 번 슈미트의 5가지 체험전략과 체험수단으로서 공간체험요소의 특성으로 살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간에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체험 전략은 대부분 오감을 통한 감각체험이나, 감성체험, 인지체험 등 고객의 개별적인 체험을 통해서 대부분 나타났고, 사회, 문화적으로 공유된 체험인 행동체험 과 관계체험의 특성은 보다 적게 나타났다. 또한 체험 설계요소는 브랜드 컨셉을 중심으로 외 부는 차별화된 건물 형태나 입면 디자인으로 나타났 다. 내부는 테마화를 통한 조형적 장치나 디스플레이, 컨셉 컬러의 사용, 재료를 특성화하는 방식이 주로 나타났으며, 갤러리나 카페 같은 문화시설을 공간내 부에 복합 구성한 특성도 나타났다. 직접적 체험과 관련해서는 매장내에 전시된 제품 을 직접 시연 할 수 있는 테스트존, 포토존, 이벤트존 의 조성과 미디어 장치적 환경구축이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브랜드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공간 표현특성이, 고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것과 직접적인 체험기회의 제공을 통한 개별적인 체험 측 면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체험 설 계 요소의 복합적인 적용을 통해 브랜드를 고객의 라 이프스타일과 연결시켜 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된 브랜 드아이덴티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필요하다 고 판단된다. 주제어 브렌드아이덴티티, 체험, 플래그쉽스토어 Abstract As our society has become information-oriented with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ies, social changes focusing on diversification has occurred. This led to changes of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personal individuality is considered valuable and we need strategies to promote sensitivity and to satisfy purchasing needs. For the purpose, enterprises use brand stores as a point connecting brand to customers and a means for brand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flagship stores representing brand identity according to five strategic modules, Schmidt's experiential strategies, examined how experiential strategies are represented through landmark, malling, concept line, core attraction and identified effective spatial representative means for brand identity,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Most of the experiential strategies to form brand identity in space were represented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s of customers such as experience of five senses, emotion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and there was less representation of behaviors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which are socially and culturally shared.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design factors represented in space according to each strategy are presented through differentiated external forms, projective design, and landmarks of signboards, and sensitive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diverse spatial compositions, specialized materials and illuminations. In respect to cognitive experiences, design variables are represented for direct experiences of customers through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multi-media simulation. Behavioral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thematic lifestyles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are presented through media simulation which connects users to social environment. Keyword Brand identity, Experience, Flagship stor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