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디자인 언어개념 정립을 통한 인더스트리얼디자인 언어 교육콘텐츠 연구-유연식 433-444 | |||
---|---|---|---|
글쓴이 | 관리자 | 날 짜 | 2011-08-24 |
첨부파일 | 43-디자인언어.pdf | ||
내용 | 디자인 언어개념 정립을 통한 인더스트리얼디자인 언어 교육콘텐츠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 for industrial design-language through defining the concept of design-language. 유 연 식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교수 Yoo, Yeon-Sik Design Dept. Inje university * 본 논문은 2005년도 인제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 ----------------------------------------------------------- 논문요약 디지털, 인공지능기술과 같은 산업 중심기술의 변 화로 디자인은 ‘유형상품’에서 ‘무형상품’으로 그 대상 이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디자인 커뮤 니케이션에서는 언어사용의 비중이 더 높아지고 있 다. 이제 대학의 디자인교육에서도 언어를 디자인교 육의 중요 항목으로 다루어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실험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인더스트리얼디자인 언어교육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 다. 2장에서는 디자인개념의 의미를 정립하였으며 이 를 디자인 실물개념, 디자인 그림개념, 디자인 언어개 념과 같은 디자인커뮤니케이션 수단들과 관련지어 그 의미를 세분화하여 정립하였다. 3.2장에서는 인지심리 학의 ‘개념과 범주화 이론’을 활용하여 ‘단어개념, 문 장개념’, ‘통합개념, 속성개념’, ‘개념, 개념 기능선택’, ‘관계개념, 관계모형’이라는 디자인 언어개념 교육 요 소들을 도출하였다. 3.3장에서는 2.3장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언어개념 현황 인지’와 ‘언어개념 인지 경 제성’, ‘언어개념 인지 정보성’, ‘언어개념 인지 개인 성’, ‘언어개념 인지 기본수준’의 향상이라는 5가지의 디자인 언어개념의 교육 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어 디자인 언어개념, 교육 요소, 교육 주제 Abstract Under the transformation of main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the target of design is expanding from 'tangible product' to 'intangible product,' and this leads to the greater importance of language use in design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now treat language as an important factor of desig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experiment of various educational content are necessary. This study is to define language educational concept in industrial design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study. In chapter 2, the meaning of design concept was defined and it was segmentalized according to its relations with methods of design communication such as design nature concept, design picture concept, and design language concept. In chapter 3.2, by using 'concept and categorization theory' of cognitive psychology, educational factors of design-language concept such as 'word concept, sentence concept,' 'integrated concept, attributional concept,' 'concept, concept function selection,' and 'relational concept, relational model'. In chapter 3.3, five educational topics for design-language concept has been drawn from the studies in chapter 2 and 3: 'recognition of language concept's present condition,' 'economic feasibility of language concept recognition,' 'information of language concept recognition,' 'individuality of language concept recognition,' and 'basic-level of language concept recognition.' Key words design language concept, educational factor, educational topi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