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카일쿠퍼의 영화 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연구-김희준 145-156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1-02-24
첨부파일 13카일쿠퍼의.pdf
내용 카일쿠퍼의 영화 타이틀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lm Title Design of Kyle Cooper 


김 희 준 
동양미래대학 시각디자인과 교수 

Kim hee-jun 
Dongyang Mirae university Dept. of Visual Design 

==================================================== 

1. 서 론 
2. 영화타이틀 디자인의 이해 
2-1. 영상의 개념 
2-2. 영상언어 
2-3.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2-4.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 
3. 오프닝타이틀 
3-1. 오프닝타이틀의 개념 
3-2. 오프닝타이틀의 접근방법 
4. 오프닝타이틀의 분석 및 활용방안 
4-1. 분석방법 
4-2. 분석대상 및 분석내용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영상매체의 발달은 커뮤니케이션의 방법과 표현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합화하여 중심 매체로서 비중이 증대하고 있다. 영상정보(visual information)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영상(image) 사이에서 정보의 내용을 보고 해석하는 방법을 이해하여야 한다. 
영화속에서 오프닝타이틀(opening title)은 함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영상정보이다. 따라서 오프닝타이틀은 여러 이미지들을 나열한 단순한 영상이 아니라, 적합하고 효율적인 영상언어(visual language)와 영상표현기법을 갖춘 매체이며 메시지인 것이다. 
카일쿠퍼는 현대 영화타이틀 디자인에서 그 독자적인 특성과 영양력을 이루었다. 그는 실험적 타이틀디자인을 통해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파괴와 새로운 타이틀디자인의 변혁을 가져왔다. 
따라서, 카일쿠퍼의 오프닝타이틀은 관객과 함께 상호교감과 함축적 의미를 주고받는, 다양한 영상언어들이 모여 형성하는 메시지로 이해되어야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카일쿠퍼의 오프닝타이틀을 기호(sign)와 메시지로 지각하여(perception), 이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영상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영상의 개념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카일쿠퍼, 영화타이틀디자인, 오프닝타이틀 


Abstract 
The development of visual media not only has changed the representation and the ways of communication, but also has grown up as a primary medium unifying other media. I believe that one must understand how to interpret and see conceptual inform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images in order to communicate efficiently through visual information. 
In the film,  the opening titles is visual information of implicitness. It is not a simple visual array of different images at all, but is the media and the message endowed with efficiency and sufficiency of the visual language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Kyle Cooper has established a unique and influential world of his own in the area of the opening titles. He is admired for destroying the mold of traditional metaphysics and transforming the existentialism of title designs with his experimental works. 
In conclusion, Kyle Cooper‘s works have to be understood as a message not only formed by various visual languages, but also interacted with and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public. 
In this thesis, I am using a definition of the opening titles which refers to both a sign and a message perceived. To conclude, then, Kyle Cooper‘s works suggest its abstract principle and direction in order to analyze and apply to the new paradigm in the visual era. 


Keyword 
Kyle Cooper, film title design, pening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