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심리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목공예, 가구제작 기술교육의 효용성 평가 연구 -최기, 윤봉기 153-164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08-25
첨부파일 10.심리치료 재활.pdf
내용
심리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목공예, 가구제작 기술교육의 효용성 평가 연구   
- 인천산재병원 재활전문센터 특수재활요법을 중심으로 - 

An Evaluation Study on Effectiveness of Technical Training of 
Woodcraft and Furniture Manufacturing for Improvements in 
Psychotherapy and Rehabilitation Programs 
- Focusing on the special rehabilitation therapy in the rehabilitation special center in 
the Incheon Workplace Accident Rehabilitation Hospital - 



주저자: 최  기 
강원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가구디자인학과 부교수 

교신저자: 윤봉기 
근로복지공단 인천산재병원 재활전문센터 재활치료팀 교사 

Choi ki 
Kangwon university 

Yoon bong-ki 
Incheon Workplace Accident Rehabilitation Hospital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목공예, 가구제작 기술의 개요 
2-1. 목공예, 가구제작의 정의 및 특성 
2-2. 목공예, 가구제작기술의 활용방법 
3. 심리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의 현황과 역할 
3-1. 프로그램의 개요 및 종류 
3-2.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역할 
3-3. 목공예, 가구제작 기술교육의 연계방법 
4. 최적화 연구 
4-1. 목공예, 가구제작 기술교육의 사례연구 
4-2. 세부 프로그램의 종류 및 교육과정 
4-3. 설문조사결과 검토 및 분석 
4-4. 프로그램의 효용성 검증 및 평가 
5. 결 론 
5-1. 결론 
5-2.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논문요약 
본 연구에서는 목공예/가구제작 기술교육이 장애인의 심리적 불안감 해소와 치료 후 정상적인 사회생활 및 경제활동을 지속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심리치료·재활 프로그램이라는 사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산재병원 재활전문센터에서 2010년 6월 현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목공예/가구제작 기술교육의 학습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교육수료 후 보유하게 된 목공예/가구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사회복귀 성공,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성공사례를 조사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애인의 심리치료·재활 프로그램으로서의 목공예/가구제작 기술교육은 본인의 기술력을 공인받을 수 있는 기회 등이 제공되어 재활에 대한 자신감 회복에 탁월한 효과와 사회적 가치를 지녔음이 증명되었다.   

주제어 
심리치료, 재활치료, 목공예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fact that woodcraft and furniture manufacturing technical training is one of optimum psychotherapy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to continue normal social and economic life after relieving psychological anxiety and undergoing therapy.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0 disabled people who are receiving rehabilitation in the Incheon Hospital as of June 2010 to measure their learning effects of woodcraft and furniture manufacturing technical train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woodcraft and furniture manufacturing technical training provides the disabled with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ir technical skills officially and have social values and excellent effects in recovery of confidence about rehabilitation. 



Keyword 
Psychotherapy, Rehabilitation, Woodcr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