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교통수단간 통합 표준화 디자인시스템 연구-김상욱 129-138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10-02-25
첨부파일 12-교통수단.pdf
내용 교통수단간 통합 표준화 디자인시스템 연구   
- TfL(Transport for London)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grated cross-transportation standardized design management system 
- Focus on TfL(Transport for London) - 

김 상 욱 
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Kim, Sang Uck 
Incheon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 & Design. Dept. of Visual Design 
---------------------------------------------------------------------- 
1. 서 론 
2. 도시이미지의 개념과 아이덴티피케이션 
2-1. 도시이미지의 개념 
2-2. 도시이미지와 아이덴티피케이션 
2-3. 도시와 대중교통 시스템 
2-4. 도시아이덴티피케이션과 대중교통 디자인시스템 
2-5. 서울시와 도시이미지 
3. TfL(Transport for London)의 시스템 
3-1. 심벌마크(Roundel)의 표준화 
3-2. 공공문자로서의 전용서체 표준화 
3-3. 교통그래픽요소의 표준화 
4. 대중교통 통합 디자인 시스템의 매뉴얼화 
4-1. 언어와 구조적 요소의 통합관리 
4-2. 개별요소의 통합 디자인시스템화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도시 시각환경에 있어 정보의 밀도(information density)는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공존하는 공공정보(public information)또한 점점 다양해지고 그 양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현대도시는 전통적인 물리적 범위의 개념에서 확장되어 경제활동에 있어 효율성을 강조하는 기능적 유기체의 시각으로 그 가치를 판단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공교통수단 또한 단순한 사회 공공적 역할에서 변화하여 사적 운송수단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는 요구 또한 증대대고 있다. 2007년 현제 도시화의 수준이 90.5%를 넘어서며(국토해양부 2008)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도시화국가로 진입하였고 급격한 세계화와 해외 자본의 개방과 함께 도시경쟁력의 수단으로 고유의 아이덴티티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도시를 직간접적으로 상징하는 대중교통의 이용률과 의존도는 개개인의 경제적 환경과는 무관하게 높아지고 있다. 이는 적절한 디자인 및 운용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는 일차적인 원인이 되며 긍정적인 관점에서 보면 도시의 이미지와 상징성을 가장 근본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서울시에서는 2004년과 2008년 교통체계 변화에 따라 개편안을 제시하였지만 다양화된 교통기관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일관된 디자인 시스템의 부재, 관리 및 상호 연계성의 미숙함으로 인해 그 역할을 다하고 있지 못하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수단별 매체별로 분절화 되어있는 디자인시스템을 통합하는 디자인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서울시가 요구하는 도시아이덴티티(City Identity)를 만들어갈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디자인 시스템을 통한 도시이미지의 수립의 방법론적 접근을 위해 먼저 도시이미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대중교통수단 디자인시스템 통합을 통한 도시아이덴티티 수립의 가장 오랜 역사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응용이용빈도(Applied-Usage rate)를 나타내고 있는 런던의 TfL(Transport for London)의 통합디자인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교통수단별, 이용매체별 통합안내시스템(Integrated Public Information Service System)화 방안을 제안한다. 

주제어 
교통수단통합, 표준화, 런던교통국 

Abstract 
Information density in the city space is getting higher and co-existing public information is also getting diverse and its quantity has been grown. The quality of city space would be judged by its efficiency in the economic behaviour rather than traditional function of cities. In this context, public transport has been urged to get over the traditional advantages of private transport. The present year of 2007, city-coverage-rate in South Korea is getting near 90.5%. This means each cites have to bear its own identity to push up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needs to use public transport getting higher and this is nothing to do with the condition of private financial situation. This initiative drives urgent needs to enhance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transport and this action could be make symbolic image of city space. To find out the optimal solution for generating authentic city image and identification, the first step would be set up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 design management system. TfL(Transport for London) could be the yardstick to set up this research for its high applied-usage-rate in worldwide.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the systematic approach for general purpose manual of public transport design system. 

Keyword 
Cross-transportation, Standardization, TfL(Transport for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