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디자인 서비스 협력(Collaboration) 모델 연구 -송정만 51-6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9-11-24
첨부파일 2510-디자인 서비스 협력.pdf
내용 디자인 서비스 협력(Collaboration) 모델 연구 
- 디자인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Design Service Collaboration Model Study 
(Design Services in cases)   


주 저자 : 송정만 
한국디자인진흥원 전략연구실 
Song jeong-man 
Strategy & Research Division, KIDP 


교신 저자 : 변종원 
전주대학교 생산디자인공학과 교수 
Byeon jong-won 
Department of Manufacturing & Design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 
1. 서 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연구범위와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기업경영과 환경규제 
2-2. 무형자산인 디자인의 경쟁력 
3. 디자인 서비스 산업 현황 
3-1. 선진국 디자인 서비스 산업 현황 
3-2. 한국 디자인 서비스 산업 현황 
4. 디자인 서비스 협력(Collaboration) 사례와 평가방법 
4-1. 디자인 서비스 협력(Collaboration) 사례 
4-2. 디자인 서비스 평가방법 
5. 디자인 서비스 활성화 제언 
5-1. 기업 측면 
5-2. 정부(정책) 측면 
6.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은 디자인을 기업경영의 부수적인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는 디자인서비스에 대한 인식에서도 나타난다.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다룬 다양한 디자인 서비스 사례들은 기업들이 디자인 서비스를 도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병원, 사무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 서비스 협력이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직까지는 한계는 있지만 디자인 서비스를 평가하는 방법인 디자인투자수익률(RODI, Return on Design Investment), 소비자 행동변화 측정 및 디자인 서비스 산업 측정 제안 등은 기업이 디자인 서비스를 도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와 더불어 디자인 서비스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기업 및 정부(정책)차원에서 디자인 서비스 협력 모델을 제시 및 확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위와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음에도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를 안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사례 및 기업․정부(정책) 차원에서 제안 중심으로 국한되어 있다. 둘째, 향후 디자인 서비스 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샘플 기업에 접목하여 봄으로써 디자인 서비스가 기업 활동에 어떤 효과를 제공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주제어) -->디자인 서비스 모델, 디자인 서비스 평가, 디자인 서비스 제안 


Abstract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continuously highlighted, many companies still recognize design as a additional factor to the management. This shows the same in design service. Therefore, several design services introduced in this case will help companies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In this section, I considered what design service collaboration model of the hospital, the office environments, etc, combining in various fields is and what effect it has. Though there are limits, Return on Design Investment, measurement of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nd the proposal of design service industry measurement as the method of design service measurement will promote companies to introduce design service as important factors. In addition to these efforts, to settle design service, companies &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indicate and spread design service collaboration model. Althoug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t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is focused on several cases and proposals of companies & the government (policy). Second,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needs to be supplemented by analyzing what effects design service provides through combing various systems of design service evaluation and sample companies. 

(Keyword) design service model, design service evaluation, design service propo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