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양승수,이원섭(77-9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8-08-23
첨부파일 2007_양승수,이원섭(77-92).pdf
내용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ew Media Art's Characteristics and Benefit of Remediation Theory 

주저자 : 양승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Yang seung-soo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공동저자 : 이원섭 
숭실대학교 대학원 
Lee won-sub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 
1. 뉴미디어아트의 의의 및 연구목적 
2.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 
3. 뉴미디어아트의 사례와 분석 
3-1. 추상적 속성의 뉴미디어아트 
3-1-1. 워렌 네이디치(Warren Neidich) 
3-1-2. 안드레아스 뮐러 폴(Andreas Müller-Pohle) 

3-2. 복제적 속성의 뉴미디어아트 
3-2-1. 릴리언 슈워츠(Lillian Schwartz) 
3-2-2. 다니엘 카노가(Daniel Canogar) 

3-3. 상호작용적 속성의 뉴미디어아트 
3-3-1. 제프리 쇼(Jeffrey Shaw) 
3-3-2. 토시오 이와이(Toshio Iwai) 
4. 뉴미디어 아트 창작 방식의 분석 
5. 확장된 뉴미디어아트의 분석 제언 
참고문헌 

논문요약 
뉴미디어아트는 뉴미디어를 사용한 새로운 형식의 예술작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뉴미디어아트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거나 전시된 작품이다. 따라서 그것의 범위는 컴퓨터로 편집된 비디오아트에서부터 컴퓨터로 제작되고 전시되는 웹아트(web art)에까지 이른다. 또한 컴퓨터로 제작된 이미지를 종이에 출력하여 전시하는 작품에서부터 넷아트(net art)라고 불리는 작품까지 뉴미디어아트가 된다.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은 뉴 미디어 아트를 계층적, 인지적으로 파악한 최신의 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 생산되고 유통되는 뉴미디어아트의 창작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최근의 뉴미디어아트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는데, 뉴미디어아트의 범주를 크게 추상적 속성, 복제적 속성, 상호작용적 속성으로 나누었다. 
또한 뉴미디어아트의 계보적인 연원을 이루는 전통적인 회화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뚜렷한 공통점과 변별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재매개 이론에서 제시하는 비매개, 재매개, 하이퍼매개를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재매개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그것이 포괄하지 못하는 범위의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보다 확장된 형태의 분석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급변하는 시각문화환경 속에서 뉴미디어아트가 차지하는 위상을 확인함과 동시에 현대예술이 추구하는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지평을 넓히기 위함이다. 

주제어 
뉴미디어아트, 디지털미디어, 현대예술 

Abstract 
New media art can be defined as a new form of art works using new media. New media art is created or exhibited using computers. Accordingly, the scope of new media art ranges from video arts edited with computers to Web arts created and exhibited using computers. Furthermore, new media art includes images created with computer, printed out on paper and exhibited, and works called net arts.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is one of the latest theories that perceive new media art hierarchically and cognitively.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creation methods of new media arts produced and distributed today based on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and Grusi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osely examined recent cases of new media arts, categorizing the properties of new media arts into abstraction, reproduction and interaction. 
In addition, clear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new media arts and traditional paintings, which are the genealogical origin of new media arts, were identified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m. This attempt was to clarify immediacy, remediation and hypermedia suggested in the remediation theory. 
Through this, we tested the validity of the remediation theory,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the necessity of an analysis frame in an extended form by revealing the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theory. This attempt was to confirm the position of new media arts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visual culture and to expand the horizon of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pursued by contemporary arts. 

Keyword 
new media art, digital media, modern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