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한국형장신구 개발을 위한 삼국시대금관의 조형성과 상징성고찰-이혜영(413-422)
글쓴이 관리자 날 짜 2008-08-23
첨부파일 1949-이혜영(413-422).hwp
내용
한국형장신구 개발을 위한 삼국시대금관의 조형성과 상징성고찰 

A study of Symbolism and Plastic Arts on Three Countries' Gold Crown to develope Korean Ornaments. 

이혜영 
조선대학교 

Lee hye-young 
Chosun university 
================================================= 

논문요약 
Abstract 
1. 서 론 
2. 삼국금관의 형식과 조형성 
2-1. 고구려금관 
2-2. 백제금관 
2-3. 신라금관 
3. 삼국금관의 상징성 
3-1. 고구려금관 
3-2. 백제금관 
3-3. 신라금관 
4. 삼국금관의 조형성비교 
5. 결 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삼국의 금관은 뛰어난 조형성과 다량의 유물로 양적․질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미적․역사적 자료로 우리민족의 감각을 엿볼 수 있는 장신구로서 사회․문화․종교는 물론 정신적 사고와 민족성이 반영된 한국의 대표적인 공예품이다. 그리고 특징적인 조형미를 대변해주는 상징을 담고 있는 조형물로 요소들의 조화와 균제가 탁월한 조형구성으로 정신세계를 구체화시키기도 한다. 
삼국금관의 조형은 각 나라의 종교적 이념과 사상, 문화가 토착신앙과 결속되어 융화, 발전되어 비슷한 양식을 보이면서도 각국의 사상이나 이념이 다르듯이 각 나라의 특징과 개성을 뚜렷이 갖고 있는 각기 다른 예술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고구려 금관은 엷은 금판을 투각하여 불꽃과 당초문, 용봉문, 괴운문 등으로 유려한 곡선적인 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백제의 금관 중 관식은 화염형식의 초화형이고 고깔모양의 관모(冠帽)에 반구형이 장식되었으며 외관은 사실적인 초화형으로 장식되었다. 신라의 금관은 산자형, 녹각형입식과 입식선단의 보주형장식, 전면에 영락과 곡옥의 장식, 쌍을 이루는 수식(垂飾)들이 독특한 형태로 일률적이고 공통적인 원칙을 따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삼국 금관의 조형성과 상징성을 면밀히 비교분석하여 금관에 나타난 내면적 정신세계와 조형성을 도출하여 한국금관이 담고 있는 형상의 의미를 바탕으로 주체성 있는 한국형장신구 문화를 세울 수 있는 기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gold crowns are a historical and an aesthetic material. It's Korea's representative crafts that show culture, religion, spirit and also racial characteristics.   
The symbolism represents formative beauty, its elements and symmetry embodying the spiritual world.   
The shape of each Three Countries’ Gold Crowns were developed with their own unique  religious idea, aspect and culture, combined with their own mythology and shows some similarity. 
In Goguryeo’s Gold Crowns, we can see very elegant curves with patterns like arabesque, clouds, dragon and phoenix, using the bratticing technique.  In Baekjae’s Gold Crowns, it has a peaked hat shape with a decorated flowering plant pattern.   
In Silla’s Gold Crown, the frames are 山 shapes (Chinese character meaning mountain) as well as antler shapes.  They are decorated with half moon shaped jades.  Silla’s Gold Crown follow the rule of symmetry.   
 I want to make close analysis of the inner spirits of Gold Crowns and derive from the aesthetic aspects.   I want to lay the groundwork for Korean ornament culture. 

(Keyword) 
Three countries’ Gold Crowns, Gogurye, Baekjae, Silla, formative art, symbo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