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지털 콘텐츠제작에 관한 연구/215-228
글쓴이 김정연,이지은 날 짜 2006-03-01 12:25:50
첨부파일 김정연이지은.pdf
내용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지털 콘텐츠제작에 관한 연구   

Study of Digital Contents of Ancient Tomb Mural in the Era of Goguryeo 




김 정 연 · 이 지 은* 

서일대학 교수 · 한양대학교 강사* 
-------------------------------------------------------------------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개발 및 방법 

Ⅱ. 본론 
1. 디지털콘텐츠의 정의 
2. 문화 산업의 정의 

Ⅲ. 고구려 고분벽화의 디지털 컨텐츠 제작 
1. 한국적 motion prototype 개발의 필요성 
2. 전통 문화 기반 캐릭터 원천 자료 구축의 필      요성 
3. 디지털콘텐츠제작의 범위 및 내용 
가) motion prototype 개발 
나) 동작 원형의 제작 
다) 캐릭터 디자인 개발 
4. 디지털 컨텐츠로서 기대 효과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최근 고구려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고구려 관련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고구려 고분 벽화는 ‘21세기 문화 콘텐츠의 보물 창고’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실제적인 작업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고구려 고분 벽화의 그림 자체는 그 가치가 충분하지만 정적인 그림을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고구려 고분 벽화는 결코 정적이지 않다. 다양한 인물과 신선, 상서동물 등 다양한 캐릭터가 등장을 하고 있으며, 그들의 표정과 움직임이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그러한 벽화의 배경에 신비한 신화적 서사를 갈무리하고 있다. 이러한 묘사에 현대적인 감각으로 생명을 불어 넣어주면 말 그대로 21세기에 내어놓아도 손색이 없는 문화 콘텐츠로서 그 참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 벽화를 정적인 대상이 아니라 생명이 살아 숨쉬는 동적인 공간으로서의 특성을 찾아내고 이를 실제로 복원, 재가공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적인 움직임과 캐릭터의 원형을 확보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려한다. 이들 벽화는 고구려인의 생활 모습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는 생활 풍속계 벽화, 한국인의 원형적 심상을 내포하고 있는 장식 무늬 계 벽화, 우리 민족의 신화적 상상력을 드러내는 사신 동물계 벽화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고구려 고분 벽화가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적 요소에 주목하여 벽화 속 인물들이 보여주는 한국적 동작의 원형성과 동식물 이미지에 구현된 신화적 상징성을 디지털 기술과 접목해 재현하여 실용화 할 수 있는 문화  컨텐츠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높은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공간이다. 민족적 정체성과 자긍심을 일깨워줄 수 있는 고구려 관련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풀이하여 일반인들이 우리나라 고대사에 관하여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게임, 애니메이션 등의 디지털 캐릭터 개발에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he improvement of Korean image's cultural contents is an important trend to globalize Korean culture.  Specially, along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Goguryeo, the development of related contents have become active, but because it is produced in the form of e-book its practicality is inadequate. Even though Goguryeo's ancient tomb mural is the '21st century's treasure storage of cultural contents,' there aren't many actual digital contents works being accomplished. 
 Goguryeo's ancient tomb mural is by no means passive. It has many people and wizards, propitious animals and other various characters appearing, and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movements are expressed actively.  When these images are filled with life by modern sense, they can achieve true recognition as treasure storage of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is to show that Goguryeo's ancient tomb mural is not passive, and to find its full-of-life and dynamic space. Also, it is focus to actually restore and reprocess to assure a prototype of Korean traditional movements and characters. 
  The subjects for turning into contents are the 90 pieces of murals drawn in Goguryeo's ancient tombs scattered in North Korea and districts of China. These murals can be categorized into livelihood customs murals that vividly show Goguryeo people's livelihood, decoration pattern murals connoting Korean common prototype, and demon and animal murals that display our people's mythological imagin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various elements of shape shown in the Goguryeo's ancient tomb murals to graft the Korean movement's prototype and the mythological symbols materialized through images of animals and plants with the digital technology to utilize it as cultural contents. 
 Goguryeo's ancient tomb mural is our people's symbolic space that has cultural value high enough to be registered as the World cultural inheritance.  We try to explain Goguryeo related information that will waken the racial spirit and pride as fun and easy as possible to arrange a chance for commoner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our country's ancient history. Hopefully, it will be utilized as foundation and material for development of games and animation based on historical facts. 

Keyword: motion prototype, bone animation,            avata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