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21세기 색채연구의 효용성과 활용에 대한 고찰-한국적 색채연구를 중심으로/269-287
글쓴이 송은화 날 짜 2006-03-01 12:34:44
첨부파일 09-송은화.pdf
내용 21세기 색채연구의 효용성과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적 색채연구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usefulness and application of the 21th century color studies 
-focused on Korean color studies- 



송 은 화 
크리디자인 
--------------------------------------------------------------------------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인의 색채 
      1) 한국인의 색채의식의 배경
     2) 한국인의 전통적 색채에 대한 고찰 
     3) 현대 한국인의 색채의식 
  2. 세계 각국의 색채 
     1) 극동 아시아 
     2) 서남 아시아를 비롯한 이슬람 국가 
     3) 아프리카 
     4) 유럽 
     5) 라틴 아메리카. 
     6) 북아메리카 
  3.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에 있어서 색채활용의 
     효용성과 그 예 
     1)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색의 역할 
     2) 컬러 마케팅의 효용성 
     3) 컬러 마케팅의 예 

Ⅲ. 결론 

참고문헌 

논문요약 
21C는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인한 세계의 통합과 빠른 정보 교환, 시대를 관통하는 트랜드의 급속한 전환, 소통의 부재 등 다양한 환경 속에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람들은 한편 ‘느림의 미학’과 쉼의 욕구, 과거로의 회기를 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환경 속에서 효율적인 양질의 삶을 누리고 세계 속에서 동등한 경쟁을 하기 위해 문화적 독특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법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색(Color)에 주목하고자 한다. 시각적 호소력을 갖는 색채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즉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으며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생활 속에 다양하게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한국에서 사용되어온 색채연구는 대부분 일본이나 미주지역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왔다. 색에 대한 반응은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자연적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경향을 보이고 때로는 완전히 상반된 색 이미지를 갖게 되는데 다른 나라에서 연구된 색채의식을 바탕으로 활용화 된다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전제하고 한국의 색채의식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인의 색채의식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살펴보고 오방색을 중심으로 한 한국인의 색채에 대해 고찰했다. 
둘째, 다른 나라의 색채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와 어떻게 다른 색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비교했다. 
셋째, 한국인의 색채가 산업과 생활 속에서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색의 역할과 컬러 마케팅의 효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불어 세계의 컬러 마케팅과 한국의 컬러 마케팅 예를 통해 한국의 독창적인 색채 연구와 사용의 필요성을 말하고 한국적 색채개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적 색채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지는 못했으나, 21C 경쟁력 있는 산업활동과 한국적 정서를 존중한 양질의 삶을 위한 방안으로 한국 고유색의 체계적인 연구와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 것은 의의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The 21th century is in the various environment of globalization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apid communication, fast turnover of the trend passing through  ages, and an absence of mutual understanding, etc. On the other hand, people sometimes pursue  ‘the aesthetics of  slowness’, the will to rest, and recurrence to the past in these circumstances. In this complex surroundings, the new access method based on cultural uniqueness is needed for effective quality life and fair competition over the world. 
Forming a part of this method, this study is to be focused on the Color. The color with visual appeal has been studied continuously due to instant effect with respect to communication and applied diversely to marketing, communication, and life.   
However, the most research archieved in Korea has bee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n Japan or America. We examined Korean color consciousness already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limit to utilization based on the color consciousness that has been studied in foreign countries; the reaction upon color tends to be different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social, cultural, religious and natural environment and sometimes completely contrary color image appears. 
The first, we examined where Korean color consciousness began and inquired into Korean color centered on Obangsaek). 
The second, we compared how different color they have from our country by means of the examination of foreign countrie’s color consciousness. 
The third, we inquired into the function as a color in communication and the utility of color marketing due to examine how Korean color could be applied to industry and life. Besides, we commented the necessity of Korean original color study and use and raised points at Korean color development citing an example of the world color marketing and Korean color marketing. 
According to this study, we didn’t raise an instance of concrete data  of Korean color ,but hope to say that it is meaningful that we raised the necessity to systematic study and standardization of  Korean original color as a plan for the 21th centurie’s competitive industrial activity and the quality life valued on Korean emotion. 


(Keyword) 
Korea color consciousness 
Korean original color 
color mark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