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성적소구(Sex appeal)광고의 기호학적 접근/23-35
글쓴이 박일재,송광철 날 짜 2006-03-01 12:31:31
첨부파일 09-박일재송광철.pdf
내용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성적소구(Sex appeal) 광고의 
기호학적 접근 


A Semiotic Approach To The Sex Appeal Advertisement In The Advertisement Communication Design 



박  일  재 · 송  광  철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 광양보건대학교수 
---------------------------------------------------------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및 구성 

Ⅱ. 본론 
 1.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개념 
 2.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과정 
 3.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기호 활용 
 4. 성적 소구(Sex appeal)의 정의 
 5. 성적 소구(Sex appeal) 광고표현의 유형별 
     의미 작용 및 사례 
  1) 은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2) 유추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3) 남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4) 환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5) 제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논문 요약 

기호학적(Semiotics) 방법론은 이 다의적인 속성의  ‘성'적 이미지의 의미작용 분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분석을 풍부하게 한다. 
물론 기호학의 매력이자 한계이기도 한 자의성(arbitrariness)의 개입과 분석자의 식견과 연구역량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성'적 이미지 분석 자체는 ‘성'과 ‘이미지'라는 애매모호성(ambiguity)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두 개념에 대한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또한 광고표현 분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인터렉티브 미디어에서의 수용자로 하여금 적극적 해석을 유도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광고 목적에도 부합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도 적절한 ‘성'적 이미지의 생산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methodology of semiotics provides a basis for analysing the meaning action of the 'sexual' image of this polysemous attribute, and, at the same time, enriches the analysis. Of course, there may exist a difference in the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not only to an intervention of arbitrariness, which is an attractive feature as well as a limit of the semiotics, but also to an analyzer's researching ability. 
However, the analysis of the 'sexual' image in itself leaves a way open for a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two concepts where an ambiguity of 'sex' and 'image' must exist. Besides, it affords a ground for analyzing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It also provides a logical basis for producing a 'sexual' image as a creative element which can guide the users at the interactive media to make an active interpret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a ground which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and which is proper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