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성적소구(Sex appeal)광고의 기호학적 접근/23-35 | |||
---|---|---|---|
글쓴이 | 박일재,송광철 | 날 짜 | 2006-03-01 12:31:31 |
첨부파일 | 09-박일재송광철.pdf | ||
내용 |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성적소구(Sex appeal) 광고의 기호학적 접근 A Semiotic Approach To The Sex Appeal Advertisement In The Advertisement Communication Design 박 일 재 · 송 광 철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학장 · 광양보건대학교수 --------------------------------------------------------- Contents 논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및 구성 Ⅱ. 본론 1.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인 개념 2.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과정 3.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기호 활용 4. 성적 소구(Sex appeal)의 정의 5. 성적 소구(Sex appeal) 광고표현의 유형별 의미 작용 및 사례 1) 은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2) 유추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3) 남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4) 환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5) 제유에 의한 성적 소구 의미 및 광고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논문 요약 기호학적(Semiotics) 방법론은 이 다의적인 속성의 ‘성'적 이미지의 의미작용 분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분석을 풍부하게 한다. 물론 기호학의 매력이자 한계이기도 한 자의성(arbitrariness)의 개입과 분석자의 식견과 연구역량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성'적 이미지 분석 자체는 ‘성'과 ‘이미지'라는 애매모호성(ambiguity)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두 개념에 대한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또한 광고표현 분석의 근거를 제공하고, 인터렉티브 미디어에서의 수용자로 하여금 적극적 해석을 유도할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 뿐만 아니라 광고 목적에도 부합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도 적절한 ‘성'적 이미지의 생산에 논리적 근거를 제공한다. Abstract The methodology of semiotics provides a basis for analysing the meaning action of the 'sexual' image of this polysemous attribute, and, at the same time, enriches the analysis. Of course, there may exist a difference in the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not only to an intervention of arbitrariness, which is an attractive feature as well as a limit of the semiotics, but also to an analyzer's researching ability. However, the analysis of the 'sexual' image in itself leaves a way open for a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two concepts where an ambiguity of 'sex' and 'image' must exist. Besides, it affords a ground for analyzing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It also provides a logical basis for producing a 'sexual' image as a creative element which can guide the users at the interactive media to make an active interpretation. Furthermore, it provides a ground which coincides with the purpose of advertisement, and which is proper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