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트랜드 분석/286-296 | |||
---|---|---|---|
글쓴이 | 최우석 | 날 짜 | 2006-03-01 12:41:34 |
첨부파일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트렌드 분석-최우석.pdf | ||
내용 |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트랜드 분석 최우석 영산대학교 --------------------------------------- 논문요약 지방자치단체 출범 이후 각자치단체들이 캐릭터개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캐릭터는 향후 브랜 드가치 증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한 지역민들의 관심 이 높아지면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캐릭터를 개발함에 있 어서 반드시 필요한 OSMU구조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 기 위하여 트렌드를 6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된 캐릭 터 조사를 통한, 캐릭터 트렌드 현황을 예측하는데 있다. 각 자치단체가 고객중심 (Customer centered) 경영개념 을 디자인에 결합하여 도입함으로서 지방자치단체들이 체 계적인 디자인 개발 및 경쟁력확보를 위한 사고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지방자치단체 캐릭터에서 나타난 조형적인 형태 분류 및 상징성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사실적인 형태, 의인화된 형태 그리고 추상적 형태 등의 표현경향들이 나타났다. 상 징물은 인물, 동?식물 그리고 특산물 등 소재를 강조하여, 의인화한 상징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캐릭터를 활용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 여, 지방자치단체의 캐릭터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Mter the establishment of Local Self- government, it pursues vigorously to develop the character contents. And the interest of the customers is heightening on the marketing strategy to enlarge the future value of the character brand of the Local Self-government In this study, 1 analysed the trend in order to make an image as OSMU str ucture which is indispensable in devising a character in the local self-gover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60 local self-government, 1 aim at grasp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edicting the future trend. By adopting the concept of customer-centered management which combines with design, the local self-government tried to develop systematic design and to alter its thinking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formal classification which is drawn from the local self-government character, realistic form, personalized shape, and abstract form come out. Symbols are man, animal, plant, and peculiar things, so that they focus on and develop their symbolic features. Finally, 1 hope to develop the character contents of the local self-government by generating the highly added value. Keyword OSMU, Trend Analysis, Character Tren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