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커뮤니케이션 예술작품에서 손으로 쓰는 글씨체의 힘/266-282 | |||
---|---|---|---|
글쓴이 | 최승락,김헌준 | 날 짜 | 2006-03-01 12:41:22 |
첨부파일 | 커뮤니케이션 예술작품에서 손으로 쓰는글씨체의 힘-최승락 김헌준.pdf | ||
내용 | 커뮤니케이션 예술작품에서 손으로 쓰는 글씨체의 힘 최승락 김헌준 남서울대학교 ------------------------------------------------ 논문요약 손으로 쓰는 필체는 인격을 나타내기도하고 우리의 감정 과 심리를 대변 해주기도 한다. 커뮤니케이션 제작물에 있 어서 스토리의 카피를 어떠한 필체로 처리하느냐 하는 것 도 매우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제작물의 표현기법의 한 분 야로 자리 잡고 있다. 왜냐하면 커뮤니케이션 제작물의 표현 컨셉에 따라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가 모두 다 르기 때문에 그 내용에 포함되는 작가의 감정, 호기심, 인 격의 종류도 분명이 달리 표현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영문 폰트는 수천종류의 활자체가 개발되어 있으나 한글 은수십 여종에 지나지 않아표현의 다양성이 대단히 부족 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거의 대다수의 커뮤니케이션 제작 물들은 카피 부분의 내용들이 디지털 폰트로 처리되어있 다. 따라서 손으로 쓰는 글씨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제 작물은 우선 희소성의 측면에서 시각적 차별화에 성공을 하고 있다. 더불어 자유스러운 필기체는 소비자들에게 호 감을 주며 그 필체의 이미지와 커뮤니케이션 제작물과의 컨셉이 일치할 때는 제작물의 궐리티와 효과도 올라가리 라본다. 예를 들면 박물관의 애니메이션 제작물은 역사적인 이미 지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폰트 선택은 손으로 쓴 펼체 가 잘 어울리며, 어린이를 위한 동화책도 어린아이의 호기 심과 눈높이를 고려하여 어린아이가 직접 손으로 쓰는 것 같은 필기체가 더욱더 잘 어울리라 판단된다. 커뮤니케이 션 제작물의 결정체는 한마디로 차별화된 표현이라 고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엇을 차별화 할 것인가라는 크리 에이티브한아이디어 발상이 커뮤니케이션제작물에뭇밖 의 좋은 결과물을 안걱다 주기도 한다. Abstract A person’s handwriting may represents the person’s character and shows the feeling 없ld mentality of the person. What types of letters would be used in the stoη copies for the communication materials have been settled as an important expression technology. As the messages conveyed to the consumer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concepts of the communication materials, the varieties of the emotion, curiosity, and characters of the author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materials should be expressed in differently. Although the type points of English have been developed into thousands of various styles, those of Korea points have been developed into only dozens of styles and it is true that the expressions in Korean types may be lacked in the viewpoints of varie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opies of almost all the communication materials used to be treated in digital points.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aterials in which some handwritings are used have succeeded in the visual differentiation in the viewpoint of scarcity. Furthermore, free styled handwritings would present the consumers some good senses. When the concepts of the comm unica tion ma terials correspond to the images of the handwritings, the quality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s would be increased. For example, as the animation materials in a museum should have the historical image, the type points of handwritings are recommended for the harmonization. In addition, in case of the fairy tales for children, the handwritings written by children is judged to be better for them considering the curiosity and level of the children‘ It is said that the core of the communication materials would be the differentiated expression. Considering the situations, the creative ideas of what kinds of the elements should be differentiated may produce some fruitful results by acciden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