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열람
HOME  >  논문열람

◈ 논문열람

Web상의 시각적 구성요소로서의 아이콘디자인에 관한 연구/126-141
글쓴이 김창국 날 짜 2006-03-01 12:38:38
첨부파일 Web상의 시각적 구성요소로서의 아이콘디자인에 관한 연구-김창국.pdf
내용 Web상의 시각적 구성요소로서의 아이콘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창국 
부산대학교 
---------------------------------------------- 
논문요약 

오늘날은 컴퓨터 보급의 증가와 인터넷의 상용화로 사용 
자의 편의성을 요구하는 웹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기술의 
출현을 바라고 있다. 즉, 웹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전 
달수단이 되고 있고, 우리에게 새로운 정보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구조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웹의 초기 개발자들은 웹 사용자를 위한 문서구성의 논리 
성에만 치중했던 결과 정보전달의 시각적 측면을 등한시 
했기 때문에 웹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있다. 
웹사이트는 때로는 컨텐츠 중심일 수도 있고, 때로는 기 
술 위주의, 때로는 디자인 위주의 사이트로 개발된다. 그 
러나 사이트 구축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바로 
시용자이며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 
다.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고 명확하게 
하는 방법으로는 문자와 그림이 있고 인터넷에서의 정보 
의 전달도그림과텍스트, 현재는멀티미디어 요소가추가 
로이루어지고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요소 중에서 웹의 쌍방향 커 
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간 
의 정확하고 명료한 전달매개체가 필요하다. 그 매개체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데 아이콘 
의 디자인은 명령전달 체계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이며 우수한 웹페이지의 정보를 검색히는 사람들에게 시 
각적으로 자연스럽게 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공간의 제한없 
이 모든 사용자들이 소통가능 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의 개 
발을 요구하고 있다. 즉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의미와 내용을 논리적으로 이해시키는 것보다는 직감적으 
로 인식시킬 수 있는 웹표지판의 심볼로써 시각화하여 전 
달되는 확대된 조형언어로서의 아이콘을 필요로 하게 되 
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아이콘의 이론적 배경을 문 
헌과 기존연구로 분석하여 시각언어로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보고, 활용도가 많은 기존 국내검색사이트를 중심 
으로 하여 아이콘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기능적이고심미적인아이콘디자인의 개선방향 
을 제시하여 웹에 적합한 시각전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 
하고자한다. 

Abstract 

The increase of computers and the common use of 
the Internet demand an introduction of a design 
technique for Web-interface that can provide users 
with convenience. The Web has become a new 
means of communication and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get new information. The Web, 
however, has many limit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since the ear1y deve10pers of the 
Web. who were interested in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focused on the 10gic of document 
structure and thus neg1ected the visua1 aspect. 
The Web sites are often deve10ped focused on 
contents, techniques, or design. However, when a 
site is bui1t, the users shou1d be considered 
primarily and thus the design shou1d be for the 
users. The most effective and clear means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s by word and 
picture. On the Internet, picture and text are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present1y a 
mu1timedia aspect is add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γeness of mutua1 communication on the 
Web, a clear and precise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s shou1d be included in designing 
the Web-interface. An icon p1ays an important ro1e 
in the medium, since the design of icon is an 
inevitab1e e1ement in the system of command and it 
visually and naturally 1eads the information 
seekers to good Web pages. Thus the user interface 
demands the deve10pment of an icon that enab1es 
the users to communicate without any physica1 
limits. That is, one needs to deve10p an icon as an 
expanded formative 1anguage that is easi1y 
understood, intuitive1y recognized without any 
10gica1 exp1anation of its meaning and content, and 
visually conveyed as a symbo1 on the Web. 
Therefore, in this thesis 1 tried to suggest a right 
direction of icon design as a visua1 1anguage by 
reviewing and ana1yzing the theoretica1 
background of icon in the previous literatures. 1 
a1so attempted to suggest a better means of icon 
design, which is functiona1 as well as aesthetic, by 
examining the icons of the most frequent1y visited 
sites in Korea 

Keyword 
visua1 communication 
l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