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한국 전통문양의 그래픽 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258-269 | |||
---|---|---|---|
글쓴이 | 문정민 | 날 짜 | 2006-03-01 12:45:25 |
첨부파일 | 한국 전통문양의 그래픽 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문정민.pdf | ||
내용 | 한국 전통문양의 그래픽 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 문정민 조선대학교 ------------------------------------------------ 논문요약 전통이란 어떤 규범이나 행위. 가치를 가지고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틀이며 , 미래에로의 새로움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나라의 전통적 표현 의미는 과거로부터 전래되어온 자신의 것인 동시에 새로 운 형태창출을 위한 기초이다. 모든 시각적 조형예술에 있 어서의 전통성 표현은 그 지역이나 나라에서 이해하고 그 기본 조건 위에 지금의 사회적 상황이 요구히는 시대적 감 각에 접목시 킬 수 있도록 함에 그 표현의 원리를 알아두어 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통성 표현과 그 조형적 특성 의 그래픽적 이미지 적용을 위하여 그 과정과 발전 단계를 거리 장치물 그래픽 이미지에 표현될 수 있는 전통 문%뇨을 중심으로 조사, 관찰, 분석해 보았다. 첫 번째로 이론적 배 경으로써 전통 문양의 유형과 사례들을 고대 토기를 중심 으로 문헌을 통하여 살펴 보았고, 기존에 발표된 사례를 중심으로 적용된 예를 분석한다. 두 번째로 적용과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기존 전통 토기 문 양에서 슈퍼 그래픽, 조가, 가로장치물에 어떠한 과정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가능성을 전통문양요소, 이미지 요소, 형태요소, 문양요소의 순으로 그래픽적 이미지 적용 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그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Tradition as social and cultural customary way of thinking or behaving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this way and continuously followed for a long time and a statement expressing our beliefs about what will happen in future. And it is an uninterrupted connection with the passed and a prediction and something new that we can look for. As a result, the expression meaning of the tradition from each country is the base of creative selfexpression and, simultaneously, a work creating newformations. The traditional expression is all ‘formative-art must it a principle to understand the tradition from each region and country and introduce to this field the contemporarγ senses in accord with demand of social condition and situation. This study, therefore, is trying to observe, and analyze the development and its stages of patterns expressed in building, environmental graphics, street furn itures through the contemporary application to tradition. This study, first, will analyze types and cases of patterns as a theocratical background, what we noticed is an earth vessel of Gaya and Shilla and this is investigation wall, ceilings, floor , and railings s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try to apply the images and formative elements from traditional pattern to the environmental graphic and street furnitures And as a condition, this study comes to an end by poin ting OU t the connection wi th tradi tional elements and its vision and improvement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