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에 관한 연구-감성 요소 중심으로/150-166 | |||
---|---|---|---|
글쓴이 | 문은아 | 날 짜 | 2006-03-01 12:44:01 |
첨부파일 |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 관한 연구-문은아.pdf | ||
내용 |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에 관한 연구-감성 요소 중심으로 문 은 아 서울여자대학교 ------------------------------------------------------- 논문요약 아이디어 집약적 .기술 집약적인 문회장품은 21세기에 핵 심적인 국가 경쟁력의 도구로 인식하여 선진사회에서는 이미 새 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 하고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산업적 활성화는 제대로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회상품 을 시장성 있는 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효율적 디자인 기획 방향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문회장품 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의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현 실 태에서 디자인 개발이 무 엇보다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이에 수준 높은 디자 인 개발의 방법으로 경영 전략 차원에서의 디자인 기획이 펼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궁극적으로 소비자 를 만족시 킬 수 있는 상품개발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시장 의 주제로서 소비자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해야 하는데 , 현 재 소비자들의 가치관 중 주목해야 할 부분은 정신적 교류 와 내적 가치를 담은 생명력 있는 상품을 원한다는 것이 다 그러므로 경영 차원의 디자인 기획 측면에서 시장성 있는 상품이란 결국 소비자의 감성을 잘 반영하여 개발한 상품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문화 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의 키워드를 ‘감성’ 요소로 삼고 크게 두 가지 면에서 다루었다. 첫 번째, 디자인의 논리화를 위하여 감성 가치를 분석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디자인 기획 기초 단계에 서부터 객관적인 척도 기준으로 시장을 예측 할 수 있는 효 율적 디자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시장성 있는 상품개발의 획률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분석법들을 발전적으 로 개량시카고 감성요소를 중시하는 현 소비패턴에 걸 맞 는 디자인 분석법으로 일본 감성 연구소의 특허이론인 ‘테 이스터 스케일법’ (기호감성 좌표축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문화상품의 디자인 기획 과정에 감성 가치와 첨 2002 한국디 자인포 름 7호 단 과학 기 술과의 접목으로 상품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으로 접근하여 개발한 문회장품 사례분석들을 통하여 효과적 방법임 을 검증할수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총괄 적 디자인 기획의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감성 가지관 분석에 전통과 현대개념의 통합적 재해석을 밑 바 탕으로하여, 단순히 상품의 외적인부분에만응용하는차 원의 것이 아닌 디자인 자체에 감성가치와 기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첨단기술 등 타 전문분야와의 활발한 상호교 류를 통하여 디자인 중심의 통합화(統合化)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문화상품 디자인 기획 과정에 적용한다면 전략 적 경 영 차원의 효율적 디자인 기획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즉 디자인의 논리화를 위해 감성가치 를 분석하고 이 를 기초로 전통 문화 소재에 현대 기능을 부여하는 통합화 가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효과적 디자인 기획 방향이란 점을 본 연구에서 제안한다. 앞으로 하고자 하는 문회장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은, 각 지역마다 저마다의 기질과 풍토로 형성 되어온 색감, 형태, 재료 등 지역별 고 유 가호 감성의 심층적 부분을 기호감성 판단의 과학적 척 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에 응용하여 샘플 상 품까지 완성하는 연구 단계 과정을 통해 우리 감성 문화의 정체성을 밑바탕에 둔 다%댄f 문화상품을 개발히는데 기 여할수있을것이 다. Abstract Many developed countries have begun to regard cultural products to be the core assets to enhance the national productivity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bringing in a new market for idea oriented and technology -intensive products. On the contrary, we have a long way to industrialization of cultural produc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e Up wi th effective design planning strategies to create cultural products with more commercial values, and thereby suggest ideas for stimulating our industry of cultural products. Design planning should be given the first priority when we look for ways to stimulate the industrγ of cultural products under the circumstances. Such a point necessitates a leveled-up design planning on a corporate level. Since t his a pproach is initiated by a goal of developing products that satisfy needs of market consumers, a firm understanding of consumers as the market player is required. Most importantly, the consumers pursue products of vitality that enable emotional exchanges and carry internalized values. Speaking in a corporate context, marketability of products is decided by how fully those products accommodate tastes needs of consumers‘ Defining emotionali ty to be the core value to be pursued in our efforts for industrialization of cultural products, this research proposes two main points: First, I propose to analyze consumer' tastes values in order to theorize for designing practices. At the beginning stage of design planning, effective design analyses should be carried out to come Up with a conceptual lens through which to forecast market conditions. Along this line of reasoning, the Theory of Taster Scale, proposed by the Research Center for Emotiona lity in Japan, is desirably applied as a design ana lys is method as it emphasizes taste facto rs and caters to current consumer needs Second, efforts for innovative product development can have better results by combining emotional values with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the points made abov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industria -lization of cultural products should not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the external aspects of products; a more holistic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at welcomes help from various cutting edge high-techs and seeks to enhance the effects of emotionality. Applied in the process of design planning, such an effort will add to the corporate productivity. In short, for the goal of effective design planning for industrialization of cultural products, it is desired to analyze tastes values, and on top of that, to combine modern market needs for new functionalities with themes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Last but not least, analyses of various tastes values that include prefer-ences for colors, shapes, and materials that are unique to each region, and proper application of their results to efforts to further develop cultural products, will certainly serve as a firm basis, on which cultur a l products that guarantee international marketability as well as our own cultural identity and emotionality. Keyword tastes values, design analyses, inter- disciplinarγ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