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미국 잡지광고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현대기 미국 잡지광고를 중심으로/84-96 | |||
---|---|---|---|
글쓴이 | 강영수,김영식 | 날 짜 | 2006-03-01 12:43:06 |
첨부파일 | 미국 잡지광고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김영식 강영수.pdf | ||
내용 | 미국 잡지광고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현대기 미국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김 영 식 , 강 영 수 경도대 학 ---------------------------------------------------- 논문요약 21세기는 정보와 문화가 지배하는 시대이다. 세계화, 다 양화, 개성화 사회에서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수행 하는 광고의 증대와 의존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광고의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제시된문제들가운데 많 은 논란이 되면서도 명쾌한 결론을 내 릴 수 없는 이슈들 중의 하나는 광고가 과연 소비자의 합리적인 구매결정을 돕는 시 각적 정보를 전달하는가 하는 것이다. 즉 광고가 시각적 정보전달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가 하는것이다- 이에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지닌 본래의 목적인 시각적 정 보전달의 기능을 정확히 전달하는데 필요한 소구요소에 관하여 현대기의 미국잡지광고를통하여 연구하였다. 미국 잡지광고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잡지와 출판, π1, 광 고분야 등에 있어서 큰 변혁이 일어나게 되는데 1950년에 와서 출판 인쇄계는 “원색분해”라고 하는 정교한 사진 복 사인쇄법의 혁명을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인쇄술과사 진술의 빌달은 여러 분야에 실험적으로 도입, 활용됨으로 서 그래픽 디자인의 발전을 가져 왔으며, 그래픽 디자이 너가 대중문화의 여 러 매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데 이 시기가 미국의 잡지광고 횡긍시대라고 볼 수 있으며 정확한 시각적 정보전달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수행하며 발전하게된다. 본 연구는 현대기 미국 잡지광고의 비교분석 이 광고활동 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이므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잡지 광고 소구요소인 레이아웃 비교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한 국의 잡지광고의 발전적 모형을 제고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기 대한다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and culture seem to dominate many aspects of human life. Advertising, as a form of visual communication, has played an increasingly more prominent role in the intermationalization, antifeud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societies. With the increasing inf1uences of advertisements, there is also a rise in cirticism pointed at adverti sements. This issue needs to be clarified. Does advertisement media really communicate rational visual information to the consumer' s purchasing decision? If so, do advertisements accomplish this primarily through conveying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necessary visual elements of advertisements found in modern American magazin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magazines and publications, TV, and the advertisement fieJd have changed remarkably. In particular, 1950’ s magazine advertisement industry went through a printing techniques revolution through an elaborative photocopy printing technipues named “ full color reproduction." Advanced printing techniques and photography were adopted and applied experimentally to a wide range of fields, which, in turn, brought about the developmenet of graphic design and increasing participation of graphic designers in diverse media.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eriod could be called the golden age of American magazine advertisements And it developed while advertisements accomplished their own purpose of conveying appropriate visual information From this analysis and research have done on visual elements of magazine advertisements such as layouts 1 expect that useful reference materials will be formed to raise a growing model for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Keyword Layouts Magazine Advertisements Visual lnforma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