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한국전통놀이문화를 활용한 멀티디자인개발연구/160-182 | |||
---|---|---|---|
글쓴이 | 최승락 | 날 짜 | 2006-03-01 12:49:05 |
첨부파일 | 한국전통놀이문화를 활용한 멀티디자인개발연구-최승락.pdf | ||
내용 | 한국전통놀이문화를 활용한 멀티디자인개발연구 최승락 대덕대학 ---------------------------------------- 논문요약 본 논문은 한택의 전통놀이문화의 현황을 고찰하고 그속 에서 세계시장에 경쟁력있는우리의 놀이문화을애니매이 션 및 멀 티디자인화 해서 한국의 전통놀이문회를 외국에 이해시키고 알리는데 목적있다. 현재 한국의 전통놀이문 화를 컴퓨터소프트웨어로 통영상시킨 디자인 제작물 및 시각적 애니매이션들이 거의 없는 실정이 고보면 국내의 디자인 분야에서 이러한연구는전통놀이문화을국제사회 에 알리는데 많은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여러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이루어진 한뉴국적인 전통민속놀이문화와 관련되 는 각가지 특성을 수 집 , 정리하여 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형 체계를 세우고, 이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산업현장에 서 디자인를 제작케함은 물론 효과적으로 소비자들을 대 상으로멀티디자인화시킨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것은 무분별하게 수입 되어지는 어린이의 오락게임 등으로 우리의 아이들이 생각 할 여유도 없이 폭력적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전통놀이문화를 체계적으로 시각화시켜 다양한 매체를 통 하여 감성적인 접근으로 어린이들에게 이해의 폭를 넓히 는데 그 목적이 있기도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and make the competitive play culture of Korea animat ed and multi-designed so that people all over the world can understand and enjoy the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animated and multi-designed Korean t r aditional play cult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few designed products of Korean tr a ditional play culture animated by computer software have been produced, the study on the related design field in Korea is thought to be magnificent fundamental data to inform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necessaηT for us to collect and arrange the various characteristic materials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treated by many scholars and professionals so that we can establish the construction system of t he culture wi t hin the a pplicable range , manufacture the desirable designs in the industrial for the effective multi-design of the cultural materials suitable for the consumers. 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 is u alize Korean traditional play culture systematically so that children can approach to those visualized products through various media and they can understand the true value of our traditional play culture widely lest many children should become violent due to t he play games imported imprudentl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