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열람
미켈 뒤프렌 미학의 정감적 a priori개념/6-25 | |||
---|---|---|---|
글쓴이 | 민병일 | 날 짜 | 2006-03-01 12:50:38 |
첨부파일 | 미켈 뒤프렌 미학의 정감적 a priori 개념-민병일.pdf | ||
내용 | 미켈 뒤프렌 미학의 정감적 a priori개념 민 병 일 부경대학교 ------------------------------------------------- 논문요약 미켈 뒤프렌( 이하 뒤프렌)의 미학적 문제는 ' Phénoménologe de L’ exp하 ience EsthétiqueJ 에서 논하듯 현상학적 Phenomenol ogical 규명 이다 그는 모 든 진정한 직관은 표현이고 예 술은 직관에 의한 표현활 동이며 예 술은 정신의 형식의 구조상 최초의 것이고 가 장 직접적인 지식 의 형태로 믿고 있다. 이와 같은 분석 은 수행하기 위하여 뒤 프렌이 사용한 방법은 훗날 현상 학Phenomenology이라고 불리는 후설 Husserl의 지향 성이라는 현상학적 방법에 접근한다 뒤프렌은 미적 경혐의 현상학적 분석에 있 어 미적 경 험을 정초하고 가능하게 하는 개념으로 아 프리오리 a priori를 설정하고 있다 선험적 분석을 통하여 미적 경 험을 분석함과 아울러 인간과 예 술작품 사이 의 상관관 계 를 존재 론적인 의미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그 개념 은 정감적 (affectif) a priori 개 념 이다. apnon 개념 을 바탕으로 한 미적 경험을 현상학적으 로 분석한 미학체계는 실질적으로 선험적이며 현상학적 관점의 총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복합적 관점 을 뒤프렌은 아 프라오리 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한편 미적 대 상을 구성하는 아 프리 오리 로서 정감적 특질과 한편으로는 정감적 특질을 인 지하도록 허락하는 정감적 범주가 아 프리오리한 지식 으로 주관에 있다는 점을 통해서 미적 경험이 가능해진 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미적 경험은 정감적인 향수자의 감정이 대 상에서의 정감적 구조인 미적 대상의 표현적 의미를 읽 어 낼 때 절정을 이 루고 있다 이러한 표현적 의미가 아 프리오리로서 의 정감적 특질 에 의한 통일 되 는 미적 대 상의 의미이다. 그리고 주관은 감정 이 표현적 의미에 2000 한국디자인포름 5호 의해서 일깨워지기에 앞서 의미에 대한 아 프리오리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잠재적 인 지식은 감정이 표현적 의 미를 읽어낼 때 현실화된다. 뒤프렌의 미학에 있어서 감정을 충만하게 해주는 미 적 경험은 의식의 실존적인 것 즉 인간에 의해 체험된 지각적이고 정감적인 감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보며 이러한 미 적 행위는 감각적인 영역에 관여되고 있고 미 적 경험을 통한 감각적 현현의 개 념 이 중심 개념이다 따라서 정감의 아 프리오리로서의 감정 이란 그 현현으 로서의 감정 인 것 이다 이것이 곧 지호댐의 관념에 따른 정감적 아 프리 오리 로서의 감정 의 세계이며 뒤프렌의 미 적 경험의 세계이 다 abstract As argued in ‘Phénomén이 oge de L’ es맺rience Esthétique’ Mikel Duf renne’ s aesthetics is a phenomenological examination. He believes that every genuine intuition is an expression. He also believes that art is an activity expressed by the intuition. the first thing in the structure of mind ‘ and most immed iate form of knowledge. Durfrenne’ s analysis is similar to Husse r l' s intention ‘ a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 which l S now called ‘ phenomenology’. In the phenomenologica l analysis of aesthetic experiences , Dufrenne postulates a concept of a priori‘ by which our aesthetic experiences may lay their foundations and be possibl e . He anal yzes aest h etic experiences through transcendental analyzes. And h e a na 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s and arts in t erms of the ontological sense. 8uch a concept is affective a priori. The aesthetic system tha t phenomenologically analyzes aesthetic experiences in therms of the concept of a priori is really transcendental and displays the whole phenomenological viewpoints Dufrenne accounts for such a complex phenomenological viewpoints by using the concept of a priori. He argues that our aesthic experiences are possible since in the subject are affective features as a priori that make up of aesthetic object and affective category that allows us to recognize the affective features. Therefore‘ aesthetic experiences are most active when affective people’s feelings read expressive meaning of the aesthetic object. 8uch an expressive meaning is that of aesthetic objects which are united by affective features as a priori. The subject has a priori knowledge of meaning before the feeling is woken by the expressi ve meaning . 80 th e subconscious knowledge is realized when the feeling reads the expreSSlve meanmg In Dufrenne ’s aesthetics. the aesth etic experiences that fulfill the feeling are based on the exist ential consciousness. ‘ e. perceptive and affective feelings experienced by humans. 8uch aesthetic act ivities are related to the affective doma in ‘ and affective explicitness through aesthetic exper iences is a central concept Therefore. the affective meaning as a priori is the explicit feeling. This is the world of feeling as affective a priori following the notion of intention and the world of Mikel Dufrenne’s aesthetic experiences Keyword Mikel Dufrenne aesthetic experiences affective a priori |
||